"세계 각국에서 신경집중치료의 효과에 감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합니다."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 이병인 회장(연세의대)은 신경집중치료의 현황에 대해 이같이 설명하고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정부와 학계의 지원을 주문했다.
이 회장은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대다수 신경손상 환자들이 내과나 외과 중환자실에 분배돼 관리되고 있다"며 "이래서는 전문적인 치료를 받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1980년대 신경계 중환자실을 배치한 미국의 경우 그 엄청난 효과에 대해 감탄하는 수준"이라며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검토와 배려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신경계 중환자실 설치 문제는 넘어야할 산이 높다. 우선 수가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는 주된 이유다.
현재 중환자실 수가로는 신경계 중환자실을 설치하는 즉시 적자가 발생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일부 대형병원이 아니고는 이를 버티기 힘들다.
이로 인해 현재 국내에는 서울아산병원 등 5개 대형병원들만이 일부 제한적으로 신경계 중환자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 회장은 "신경계 중환자실을 만들면 만들수록 적자가 나는 구조 속에서 이를 설치하지 못하는 병원을 비판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정책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하나의 문제는 현재 신경집중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중환자 전담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최근 학회가 가장 주력하고 있는 분야도 이 부분이다.
이병인 회장은 "미국과 같은 전문가 교육, 수련프로그램이 전무해 신경계 중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이로 인해 대다수 환자들이 컨설트 형식으로 전문과목을 돌아다니다보니 시간이 지체되고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이로 인해 학회도 세부전문의제도 등을 통해 전문가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며 "최근 신경집중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것도 같은 의미"라고 말했다.
특히 학회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이뤄내기 위해 당분간 홍보활동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 회장은 "수가 인상과 전문가 확보 모두 정책적인 배려와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한 사업"이라며 "당분간 복지부와 심평원은 물론, 의학계 내부와 국민들을 대상으로 이같은 문제와 대안을 알리는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