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상태인 중소병원들이 재무제표 상에서 적게 보이는 이유가 무엇일까.
아주대 경영대학원 정기선 교수는 7일 발간된 한국병원경영연구원 병원경영정책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은 물음에 해답을 제시했다.
정기선 교수는 '병원은 정말로 위기상태에 있는가' 시론을 통해 "중소병원 내면을 들여다보면 재정상태가 나쁜 병원이 매우 많다"면서 "하지만 보건산업진흥원이나 국세청에 제출한 재무제표를 보면 적자 병원이 적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그 이유를 3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우선, 의료기관이 두려워하는 국세청 조사를 들었다.
정 교수는 "매년 2% 수가인상에도 불구하고 적자 난 것으로 신고하면 국세청 조사 대상이 될 확률이 높다"면서 "몇 천만원에서 몇 억원 추징당하는 사례가 많아 적자가 나더라도 이익이 나는 것처럼 보고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은행권 대출 위험부담을 제시했다.
정기선 교수는 "중소병원 상당 수는 은행에서 많은 돈을 차입하고 있다"면서 "적자상태 사실이 드러나면 은행에서 원금을 회수하거나 재정 불량 병원으로 분류해 이자요율을 인상하려는 것을 두려워 한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오너 중심인 중소병원의 특성도 한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병원 1362개(2011년 현재) 중 개인 병원은 911개로 67%를 차지하고 있다"고 전하고 "소유주인 원장 급여는 인건비로 계상할 수 없어 개인병원은 이익이 많은 것처럼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례로 보건산업진흥원이 최근 발간한 '2010년 병원 경영분석' 자료에서 숨어있는 수치를 지적했다.
100병상 당 손익계산서 분석 결과, 300병상 이상 병원의 100병상 당 당기순이익은 +1억원, 160~299병상 +3억원, 160병상 미만은 -2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는 "기이하게도 매년 8~10% 도산하는 병원급은 +6억원 수준의 당기순이익을 보였다"면서 "이는 소유주인 원장의 급여가 비용으로 계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꼬집었다.
정기선 교수는 "병원들이 언제까지 늑대소년처럼 위기가 닥쳤다고 외치기만 할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중소병원을 표본병원으로 선정하고 병원 손익과 원가 등을 연구해 수가 인상률을 합리적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