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품 R&D 강화를 위해 범부처차원의 국가 아젠다 수립 및 생태계 종합육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가 공동주관한 'Bio-Pharma Korea 2020 컨퍼런스'가 지난 9일 서울 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정부 및 업계 관계자 등 300여명이 모인 가운데 개최됐다.
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의약품협회는 지난 4월, '제약산업 5개년 종합계획'의 일환으로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비전 및 발전전략 수립을 위해 산·학·연·관 중심 Bio-Pharma Korea 2020 기획단을 구성하고 항체바이오신약,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바이오시밀러·베터, 신기술 바이오 기반제품 등 6개 분과별로 아젠다 발굴을 추진했고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결과를 공유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바이오의약품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부정책의 R&D 강화방안 ▲바이오의약품 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전략 ▲2020 바이오 의약품 강국 도약을 위한 비전 및 로드맵 제시 등 주제 발표와 토론순으로 진행됐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생명복지전문위원장인 중앙대학교 김대경 교수는 "정부정책 R&D 강화를 위한 문화적, 인적, 물적, 제도적 실천방안으로 인문·사회·경제·경영·법과의 대융합이 필요하다"며 "R&D와 비R&D 영역 간, 정부 R&D와 민간 R&D 간의 장벽해소, 수요자(국민) 중심의 개방정책 추진과 문화 정착, 범부처차원의 국가 아젠다 수립 및 생태계 종합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분과별로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현황 및 극복과제, 목표 및 추진전략제시, 핵심과제 제안과 기대효과를 발표했다.
특히 항체바이오신약은 원천기술 기반 글로벌 항체바이오신약 파이프라인 확보가 시급하며, 세포치료제는 고효율·저비용 대량생산 기술로 생산자 및 소비자의 부담경감은 물론 기업 재정 안정화 도모가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유전자 치료제의 경우 법규의 제한 조항 및 규제로 인한 시장진출 어려움으로 시장 창출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있어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바이오시밀러·베터는 기업의 자발적인 R&D 투자 유도를 위한 세제지원 확대가 필요하며, 신기술바이오기반제품은 상업적 가치 평가시스템(전문가 및 제도 등) 부재로 라이선스 아웃, 전략적 제휴 등 부가가치 창출이 미흡하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 진입 전략 수립이나 파트너링의 기회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