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드트로닉 스텐트 리트리버 ‘솔리테어’(Solitaire)의 효과와 우수성을 재확인한 메타분석 결과가 나왔다.
뇌졸중 학술지 ‘스트로크’(Stroke)에 지난 2월 게재돼 국제뇌졸중학회에서 발표된 메타분석 결과, 솔레테어를 기존 약물치료와 병행할 경우 뇌졸중 환자의 기능상 예후가 현저히 개선된 것으로 밝혀졌다.
‘SEER’로 명명된 이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80세 이상 환자에서 사망률이 크게 감소(20% vs. 40%) 한 것이 확인됐다.
SEER 연구는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에 지난해 실린 4개 글로벌 임상연구(SWIFT PRIME·REVASCAT·EXTEN D-IA·ESCAPE) 결과를 종합 평가했다.
이 연구는 총 787명 환자 대상의 무작위 임상연구와 여기서 나온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글로벌 메타 분석이다.
이를 통해 치료 후 90일 시점에서 솔리테어로 치료받은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들이 약물 치료만을 받은 환자에 비해 독립적 기능 개선(mRS 0-2) 측면에서 우수(54% vs. 31.5%)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80세 이상 건강상태가 좋은 환자에서 임상적·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절대 사망률 감소(20%)가 확인됐다.
특히 솔리테어를 통한 시술과 약물치료를 병행한 환자 5명 중 2명꼴로 기능적 예후 개선이 입증됐다.
호주 멜버른 대학 브루스 캠벨(Bruce Campbell) 박사는 “SEER 연구는 솔리테어와 같은 스텐트 리트리버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혜택을 확인해 준다”며 “개별 임상연구를 통해서는 혜택이 명확하지 않았던 결과들을 해석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혜안을 제시했다”고 평했다.
그는 “메타분석을 통해 80세 이상 환자에서 현저한 사망률 감소를 확인했으며 약물치료를 받을 수 없거나 치료가 어려운 부위 혈관이 막힌 환자에 있어서도 솔리테어가 대안이 될 수 있음이 분명해졌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분석은 증상발현부터 혈류 재개통까지 시간 지연이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정상적 기능회복 가능성을 낮춘다는 시간과 임상적 결과 간 상관관계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캐나다 캘거리 대학 마양 고얄(Mayank Goyal) 교수는 “솔리테어를 통한 치료는 합병증 발현과 두개내출혈 위험을 성공적으로 낮춰준다”며 “이번에 분석한 데이터는 보건의료계, 국가 및 병원 등에서 보유한 광범위한 샘플들에 대한 대표성을 띠고 있어 세계 각국의 다른 보건의료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솔리테어는 서혜부를 통해 막힌 뇌혈관에 접근할 수 있는 미세한 크기의 카테터를 사용하며, 즉시 혈류를 회복하고 뇌졸중을 일으키는 혈전을 체외로 끌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