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에서 보험수가로 인정하는 고지혈증 치료가이드라인 기준이 국내실정과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연세의대 노화과학연구소 조홍근 교수는 27일 고지혈증 인식도 조사 발표회에서 “현재 고지혈증 치료 가이드라인 기준은 외국사례로 근거로 한 것이기 때문에 국내 실정과는 맞지 않는다”면서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아닌 LDL 수치 기준 적용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연세대 보건대학원 지선화 교수와 함께 지난 10년간 국내 고지혈증환자 93만명을 역학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190mg/dl를 넘으면 심혈관질환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심평원에서는 고지혈증약으로 인정되는 보험수가 범위를 총 콜레스테롤 수치로 적용해 고혈압 및 관상동맥 등 위험요인를 가진 환자는 220mg/dl 이상, 위험적용이 없는 환자의 경우에는 250mg/dl 이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조 교수는 "그러나 보험기준으로 인정받는 콜레스테롤 수치는 중성지방(TG)과 HDL 및 LDL를 고려하지 않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유럽 및 최근에 열리는 학회에서도 총 콜레스테롤 수치보다는 LDL 기준을 따르고 있다”면서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수치를 70mg/dl까지 낮추면 관상동맥질환도 감소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국내에 적용되는 기준은 국내의 콜레스테롤 및 심혈관 질환 위험 발생과는 거리가 멀다”며 “실용성, 최신자료, 경제성 등 국내 실정을 고려한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