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헌혈자의 절반이상을 차지하지만, 각종 혈액사고의 주범으로 지목받아온 단체헌혈의 안전성 확보조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헌혈과정 전반에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특히 요구되는 단체헌혈 현장에 의사가 있는 경우는 단 6.57%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장향숙 의원(열린우리당)이 2005년 1월부터 7월까지 각 혈액원별 단체헌혈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16개 혈액원이 총 4,138건의 단체헌혈을 시행했지만 의사가 직접 관리한 곳은 6.57%인 272건에 불과했다.
경기혈액원은 278건의 단체헌혈 중 단 한건에만 의사가 참여했으며, 서울남부혈액원은 343건에 5건, 서울서부혈액원은 198건 중 4건에서만 의사가 직접 현장을 관리했다.
특히 중앙혈액원은 483건의 단체 헌혈 중 의사가 직접 현장을 관리한 헌혈은 10건이었는데, 이마저도 미8군, 국세청, 사법연수원, 국방부, 삼성생명, 조흥은행, 일산백병원, LG카드 본사, 여의도순복음교회 등 사회적 명망이 있는 곳에만 참여했다.
장향숙 의원은 "적십자 혈액원 근무의사의 단체헌혈 현장관리 빈도와 횟수를 늘려야 한다"면서 "혈액원에 공중보건의사 파견확대를 검토하는 등 의사인력 확충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헌혈 부작용은 2002년 이후 총 543건이었으며 단체헌혈 과정에서의 부작용이 226건, 헌혈의 집에서의 부작용이 248건이었다. 특히 단체현혈 과정에서의 부작용은 2002년 55건, 2003년 54건, 2004년 66건, 2005년 51건(8월까지)으로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