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전문센터 권역화는 요원한 일인가. 화상환자의 보험급여 확대가 오히려 전문센터 설치와 인력양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아이러니컬한 주장이 제기돼 또 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복지부 보험급여기획팀 손영래 사무관은 16일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릴 대한화상학회(회장 윤여규, 서울의대) 심포지엄에서 “화상으로 인한 피부손상 치료와 관련해 보험급여 확대시 보험수가 낮아져 안그래도 부족한 화상 수술인력과 시설의 입지를 더욱 줄어들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손 사무관은 화상환자의 건보적용과 관련, “피부성형술은 고도의 기술력과 노동 집약력이 요구되는 특징을 지녀 복부수술 등 중증시술과 비교시 오히려 의료진의 노동이 더욱 소모되는 역전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며 급여 확대에 따른 의료계와의 논란을 내비쳤다.
현재 국내 화상 전문 치료기관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수로 화상환자 이송과 응급실에서 외과, 성형외과로 이어지는 장기간의 입원으로 구급팀과 병원, 환자 모두에게 말 못할 어려움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 소방방재본부 김재산(구급관리팀)씨는 심포지엄에서 “현재 119 현장 응급처치 지침서에 화상등급 분류와 이송원칙이 있으나 병원 전 단계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고 처치할 수 있는 지침은 부재하다”며 “중증 화상환자를 위해 화상센터가 권역별로 1곳 이상은 지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의료기관도 장기입원과 의료인력 배치 등을 문제로 일부 환자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화상치료를 외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례로 이번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총 34편의 연제 중 한림의대가 절반이 넘는 18편을 발표했고 한일병원 4편, 부산 하나병원 3편 등으로 화상전문병원이 학술에서도 우의를 보인 반면 서울대, 삼성, 세브란스병원은 우수 의료진에도 불구하고 한 편의 논문도 게재하지 않아 국내 화상치료의 현실을 단적으로 표했다.
화상학회 한 관계자는 “화상환자 의료시스템에 대한 정부와 병원계의 무관심이 내년 6월 서울에서 열리는 제6회 아시아태평양화상학회를 계기로 변화되기를 기대한다”며 현 시스템에 대한 답답함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