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상제내성관리정책에 있어 각 관련단체 간 감시데이터의 공유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국가차원의 통합감시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0일 열린 식약청 주최 '국가항생제내성전문위원회 포럼'에서 참석한 대다수의 전문위원들은 현재의 정책하에서는 각 관련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감시데이터의 공유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전문위원들은 국가차원의 통합감시체계 하의 각 단체간 협조적인 DB공유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날 '국가항생제내성감시체계의 발전방향 제언'을 발표한 고려대 의대 감염내과 김민자 교수는 "현재의 항생제 내성감시 시스템의 통합 운영과 자료의 정기적인 유출이 이뤄지고 있지 않으며 항생제 내성의 정확한 정보를 통한 항생제 사용 절제 정책의 유도 또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교수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본부'를 중심축으로 새로운 내성균 출현·전파 감시체계, 병원 중환자실 내성 감시체계, 주요 법정 전염병 내성 감시체계, 농축·수산계의 내성 감시체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는 발전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또 "가칭 국가 항생제내성 관리본부는 항생제 내성 감시 및 관리의 행정적 본부로서 항생제 소비 정책결정, 임상치료지침 개발등의 역할을 가진 중심축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통한 국가적 항생제 내성감시 발전방향으로 김 교수는 국가적 플랜의 개발 및 실행을 중점으로 △국가적, 지역적차원의 내성감시를 위한 각 참여감시기구의 역할 정의 △표준화된 검사방법 사용장려 △관련단체 감시데이터의 적절한 배포 등의 세부과제를 이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대다수의 참석위원들은 '표준화'와 'DB 공유'등을 항생제내성감시체계의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이에 대해 식약청 식품미생물과 이건조 과장은 "올해에 비해 내년도에는 2배정도 예산이 오를것으로 예상되고 정부의 의지도 있는 만큼 표준화 작업도 순탄하게 진행될 것"이라며 "일반인과 전문인을 위한 통합웹사이트를 통한 지속적인 내성관련 정보제공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