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명 처방 시범사업을 막기 위해 의사협회가 8월31일 집단 휴진을 추진하는 가운데, 개원의들만의 휴진으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집단휴진을 통해 성분명 처방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병원들도 참여가 필수적이나, 대부분의 병원들이 참여를 꺼리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 3월 의료법 반대 궐기대회 당시 마산지역에서는 병원들도 휴진에 참여하려는 논의가 있었으나, 결국 유야무야되고 만 일도 있었다.
특히 이번에는 유형별 계약을 놓고 의, 병협이 갈등 관계여서 협회 차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병원계 관계자는 "얼마전 의협과 병협 회장이 만나 공조하기로 했지만, 원론적인 것일 뿐 휴진과 관련해 실무적인 논의가 진행된 것은 없었던 것으로 안다"며 "시범사업을 두고 휴진과 같은 극단투쟁을 선택하는 것은 명분이 약하다"고 말했다.
의학회 한 관계자도 "생동성 안정성 미확보 등 성분명 처방 시기상조론이 대세이기는 하지만 휴진투쟁에 적극 동참할 수 있는 입장은 아니다"라며 "실제 의학회 차원에서 투쟁 참여를 독려한다고 하더라도 동조자는 극소수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의협과 지역의사회 등이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통해 병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부산의 한 개원의는 "지역의사회 차원에서 지역 병원들도 참석할 수 있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면서 "병원들도 응급실을 제외하고는 집단휴진에 참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지역의사회장은 "전공의, 대학병원도 성분명 처방 시범사업 반대에 함께 동참하지 않고 개원의들만 참여한다면 한계가 분명할 것"이라면서 "개원의들의 불만만 고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