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산하 산재의료원 이사장의 공석 사태가 두 달을 넘기면서 직원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산재의료원 전신인 산재의료관리원 심일선 전 이사장은 지난 5월 23일 사표를 내고 떠났다.
심 전 이사장은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직후 공공기관장을 대대적으로 물갈이 하는 과정에서 사퇴 압박에 시달렸다고 폭로하면서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러자 이영세 이사장이 직무대행을 맡고 있지만 인사가 차일피일 늦춰지면서 벌써 두 달을 넘겼다.
그러는 사이 산재의료관리원은 지난해 11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개정되면서 7월부터 명칭이 한국산재의료원으로 바뀌었고, CI도 새롭게 만들어진 상태다.
무엇보다 과거 민법상 재단법인에서 공법상 특수법인으로 위상도 변했다.
이에 따라 산재의료원은 바뀐 사명과 CI를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새 이사장 임명이 지연되면서 달라진 위상에 걸맞게 새출발을 다짐할 기념사업도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이다.
산재의료원의 가장 큰 현안 가운데 하나는 산재환자들이 소위 ‘빅5’에서 급성기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강남성모병원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개정되면서 이달부터 산재요양기관으로 당연지정되긴 했지만 당연지정제 적용에 반발해 위헌소송을 제기하겠다며 벼르고 있다.
이에 따라 산재의료원 이사장은 이들 대형병원과 의료원 소속 산재병원이 원활하게 환자를 전원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서로 조율하는 게 시급하지만 공석이 오래되면서 전혀 손을 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재의료원 관계자는 “대형병원들이 산재요양기관으로 당연지정되더라도 이들 병원과 역할을 분담해 상생을 모색해야 하는데 새 이사장이 임명되지 않고 있어 사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뿐만 아니라 산재환자 재활을 전담하기 위해 경기케어센터와 강원케어센터가 이미 지난해 11월, 올해 3월 문을 열었지만 아직까지 개소식조차 하지 못하고 있어 직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있다.
특히 올해 상반기 접어들면서 의료원 산하 산재병원의 환자가 감소하자 병원별로 사회공헌활동 등을 통해 위기 타개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새 수장이 없어 분위기 쇄신에도 애를 먹는 분위기다.
이에 대해 의료원 산하 모병원 관계자는 “상반기 환자가 감소해 비상이 걸렸고, 대대적인 이미지 쇄신이 시급한데 전혀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