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병원이 심각한 적자운영을 하고 있다고 한다. 제대로 된 어린이병원의 틀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대병원의 경우 연간 100억 원씩 적자를 내고 있으며 조만간 어린이병원으로 전환할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도 연 70억 원의 적자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정부가 어린이병원 건립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세운 양산부산대병원도 벌써 적자 행진을 작했다고 한다. 국가의 지원을 받은 어린이병원의 형편이 이 정도면 민간 어린이병원의 형편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어린이병원의 경영난은 심각한 상황이다. 어른 병원보다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진료에 드는 시간도 더 많다. 장비 활용도가 떨어지고 돈 되는 검사항목도 적다. 더욱 큰 문제는 중환자나 미숙아 진료 등 진료의 특수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소아가산은 극히 일부에서만 적용되고 신생아중환자실과 신생아실 수가는 턱없이 부족하다. 신생아중환자실의 1병상당 적자는 연간 1억 원에 이른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신생아 인공호흡기를 구하기 위해 전국 어린이병원을 수소문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실망스런 수준을 넘어 탄식이 나올 정도다.
정부는 지금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출산율 제고 노력은 그다지 뚜렷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의료인들은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태어난 아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의료시스템을 확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우리나라도 어린이병원의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시설 장비 등의 내실을 다져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어린이병원을 공공의료기관으로 지정해 수가 차등화를 시행하고 재정지원을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작업을 벌이겠다고 한다. 정부는 말뿐이 아니라 실천적으로 어린이병원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한다. 당장 경영이 어려운 만큼 수가를 합리화하는데 정책의 중점을 둬야 한다. 정부가 일정부문 재정을 지원하는 일도 급선무다. 아울러 양질의 의료 인력을 양성하는데 필요한 지원책도 검토해 볼 단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