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의원
  • 대학병원

의대-병원 정규직원 입사 '하늘의 별따기'

포스텍 조사결과 94% 계약직…62%는 4대보험 미적용


이인복 기자
기사입력: 2010-01-19 06:46:13
지난해 전국의 의과대학과 대학병원에 입사한 사람들중 무려 94%가 계약직 등 비정규직으로 채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의대·병원 직원 10명 중 6명 이상이 4대 보험의 혜택도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학사를 따고 의대·병원에 입사할 경우 평균 연봉은 1480만원이었다.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최근 2009년도 4월부터 12월말까지 BioJob 사이트를 통해 의대 및 병원에 채용된 2498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2009년 채용동향을 분석하고 18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지난해 의대와 병원들은 직원의 대부분을 계약직으로 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취업한 2498명 중 94.2%가 비정규직 형태의 계약직으로 의대·병원에 입사했으며 정규직으로 뽑힌 사람은 5.8%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병원에 근무중인 직원들 중 대부분은 4대 보험의 혜택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 현재 의대·병원 직원 중 4대 보험이 적용되는 사람은 37.3%에 불과했고 나머지 62.7%는 국민 4대보험도 가입돼 있지 않았다.

바이오벤처기업의 경우 92.8%가 정규직으로 직원을 뽑고 98.8%가 4대보험을 적용받고 있는 것과 대비하면 상당히 저조한 수준이다.

의대·병원에 입사한 직원들은 석사출신이 가장 많았다. 전체 신입직원들 중 석사출신은 46.8%로 절반에 육박했으며 학사출신은 38.9%, 박사급은 14.3%를 차지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의대·병원에 입사한 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1362만원이었다. 지난해 학사출신으로 의대·병원에 정규직으로 입사한 사람은 단 한명도 없어 계약직 연봉을 받고 있었다.

석사급으로 의대·병원에 들어간 사람들은 정규직일 경우 평균 2381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계약직일 경우 1970만원선으로 파악됐다.

박사급 인력의 경우 평균 3107만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지난해 의대·병원에 입사한 박사급 인력은 없어 이 또한 계약직 연봉에 준하는 결과다.

한편, 제약회사 등 기업에 입사한 직원들의 경우 학사급은 2533만원을 받으며 입사했고 석사는 3009만원, 박사는 5066만원의 연봉을 계약하고 회사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댓글 10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