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생산, 유통관리 뿐 아니라 처방·조제 업무에까지 RFID를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특히 RFID에 우선 참여병원에는 정보공개수수료 감면, 의약품 유통정보 현지확인 면제 등의 인센티브도 제공될 전망이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전현철 U-산업화촉진팀장은 24일 열린 'RFID 기반 의약품 생산 유통효율화를 위한 공청회'에서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식약청이 공동으로 참여해 추진중인 '제약+IT 융합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전 팀장에 따르면 정부는 의약품 제조 유통 부문 전반에 IT기술인 RFID를 도입해 유통 투명화 및 물류 효율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제조부문에는 원료의약품, 자재 등에 RFID 부착을 통해 정보를 공유, 원료 주문 및 공급을 자동화하고, 입출고 판매정보에 활용해 정확한 수요에 기반해 효율적 생산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제약사와 약국, 병원, 도매상간 제품 발주, 납품, 판매관리에 RFID 기반 전자거래 모델을 도입해 통해 고비용, 불투명한 유통구조를 혁신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처방, 조제, 투약 등에 업무에 의약품 RFID를 적용하면 투약시 약품 및 환자정보를 비교하는 안심투약서비스 제공 및 항암제·진통제 등 특별관리 필요한 의약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RFID에 참여하는 병원에는 정보공개수수료 감면, 의약품 유통정보 현지확인 면제 등 인센티브 제공방안 검토하기로 했다.
또 RFID를 심평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의 유통정보와 연계해, 제약사 도매상 등과 실시간 연계해, 단품 및 포장단위별로 유통추적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전 팀장은 RFID 활성화를 위해 의약품 RFID 부착을 위한 '의약품 표준코드 표시 및 관리요령'을 개정하고, RFID 가 표시된 의약품 정보 수집주기 변경을 위한 약사법 시행규칙도 변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제약산업 제조, 물류, 유통, 판매, 소비, 감독 주체간 원활한 의약품 정보유통을 위한 '제약산업 RFID 공통표준플랫폼' 개발을 추진한다. 또한 모바일을 이용한 실시간 의약품 보고 및 의약품 정보확인을 위한 실시간 의약품 '안전정보시스템'고 개발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13~2015년까지 의약품 생산, 유통, 서비스 전반에 RFID를 전면 도입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2010년까지 제약사(2~3개), 도매상(1~2개), 병원(1~2개) 약국(10개)을 대상으로 모델을 검증하고, 2012년까지는 제약사(3~4개), 도매상(2~3개), 병원(35개 내외), 약국(290개)로 모델을 확대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설명했다.
전 팀장은 "RFID를 활용하면위조의약품 원천방지, 의약품 안전사고 발생시 문제약품 즉시 수거, 오남용·오투여 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면서 "특히 제약사는 945억원, 도매상은 1215억원의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