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실한 응급의료체계로 내외부에서 집중 포화를 맞고 있는 경북대병원이 자체적인 개선책을 내놔 주목된다.
응급의료를 전폭적으로 개선해 권역 응급의료센터로 중심을 다잡겠다는 목표지만 이미 시민들은 책임 공방에 지쳐있는 상태라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경북대병원은 최근 응급의료센터 개선을 위한 종합 대책안을 확정하고 24일 이를 공개했다.
이 방안에는 응급실 진료환경 개선과 1339 연계방안 등 총 3개 중점 추진계획과 이에 따른 세부적인 실행안이 담겼다.
우선 경북대병원은 응급환자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환자분류소를 확장하기로 했으며 접수와 동시에 진료를 시작해 전원조치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또한 응급환자 내원시 인턴의 진료를 지양하고 응급의료센터 당직 전담 전문의가 초진을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세웠다.
특히 응급실에 응급환자 전용 입원실을 운영하고 응급실 재실 시간을 최대 6시간으로 제한해 신속하게 환자가 중환자실 등으로 입원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이같은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전문의 당직 시스템도 도입된다.
앞으로 경북대병원 응급실에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신경과, 마취통증의학과 등 8개 필수과목과 신경과, 영상의학과에 3년차 이상의 전공의 또는 전문의가 상주한다.
또한 On-call 시스템을 도입해 뇌졸중 등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20분 이내에 센터 소속 치료팀이 병원에 도착하도록 했다.
응급의료체계의 최대 문제점을 꼽혔던 1339 정보센터 연계안도 대폭 강화됐다.
우선 경북대병원은 권역 응급의료센터의 역할 강화를 위해 뇌출혈, 뇌경색, 사지접합, 응급투석, 신생아진료 등 11개 진료정보에 대해 해당 임상과에 실시간 보고 책임을 부여했다.
또한 응급의학과는 8시간마다 1339 정보센터에 제공되는 진료정보를 점검해 만약 오류가 발견될 경우 권역응급의료센터 소장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했다.
경북대병원 관계자는 "대구에서 연이어 발생한 불행한 사태를 계기로 권역 응급의료센터의 중심을 다잡기 위해 종합대책을 마련했다"며 "이같은 계획을 복지부에 전달하고 자체적으로 10억의 예산을 마련해 응급의료 발전기금으로 사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같은 개선안이 면죄부가 될지는 미지수다.
생명을 잃은 환아와 중태에 빠진 환자에 대해 어느 누구도 책임있는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사건 초기에는 파업을 문제로 병원측과 노조간에 책임공방이 일었다. 이후에는 전공의 징계문제가 나오면서 책임 회피라는 비난이 거세다.
그러나 경북대병원과 노조 모두 이같은 비난에 대해 언급을 자제하고 있다. 그동안 간간히 서로의 입장을 발표했지만 각자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결국 아무도 이번 사건에 대한 책임 표명을 하지 않은 가운데 응급의료의 미래에 대한 논의가 일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종합대책이 여론을 돌릴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의료계 관계자는 "파업에 대한 책임은 병원에도, 노조에게도 있는 것 아니겠냐"며 "누구 때문에 파업이 일어났는지 보다는 이로 인해 한 생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상황에 서로 책임을 미루며 살길을 모색하는 모습이 어떻게 비춰질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