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인증제도는 정답이 있는 게 아니라 병원 스스로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서울대병원 김문숙 QA팀장은 의료기관 인증제를 이렇게 정의했다.
서울대병원은 올해부터 시행된 보건복지부의 의료기관 인증제에 따라 지난해 국내에서 가장 먼저 인증평가를 신청했고, 지난달 삼성서울병원 등 7개병원과 함께 복지부 인증서를 받았다.
김문숙 QA팀장은 "서울대병원은 이미 몇 년전부터 국제 표준에 맞게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체 평가기준을 마련해 왔지만 국내에서 처음으로 의료기관 인증제를 시도하다보니 평가 준비를 하면서 어려움도 많았다"고 말했다.
또 김 팀장은 "의료기관 인증사업은 정답을 만들어놓고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병원 스스로 정답을 만들어 가야 한다"면서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팀장은 "과거 의료기관평가는 평가 문항이 현실에 맞지 않더라도 어쩔 수 없이 따라야 했다면 인증제는 병원 스스로 의료 표준을 구현해 가는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래서 김 팀장은 의료기관 인증제를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어떤 규정을 만들고, 실제 실행하는 과정에서 현실에 맞게 다시 수정 보완해 최적의 규정을 만들어 실천하자는 게 의료기관 인증제의 취지"라면서 "인증평가를 준비하면서 병원 내부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도 절감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감염 관리만 놓고 보더라도 인증제는 환자를 추적하는 방식이다보니 병원의 특정 부서가 잘 한다고 좋은 평가를 받는 게 아니다"면서 "전체 부서, 다양한 직종간 의사소통과 피드백이 되지 않으면 제대로 평가를 받을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이에 따라 김문숙 QA팀장은 의료기관 인증제를 발전시켜 나가면 JCI 평가 못지 않게 의료의 질을 향상시켜 나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 팀장은 "JCI 인증을 받으면 외국 환자를 유치하는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평가 항목이 국내 현실에 맞지 않는 게 있고, 외국인 조사요원이 평가를 하다보니 언어의 장벽으로 인해 세부적인 것에 접근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환기시켰다.
반면 김 팀장은 "의료기관 인증제도는 비싼 외화를 낭비하지 않고도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면서 "앞으로 제도를 보완해 나가고, 국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해 나가면 안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김문숙 팀장은 "병원 역시 지속적으로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노력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