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격의료학회 권준수 부회장, 미래 의료 방향 제시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 필연성 강조…"연결 의료 필수"
코로나 대유행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원격 의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는 피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며 결국 연결(connected)의료 환경은 필연적인 만큼 전문가 합의가 시급하다는 의견이다.
한국원격의료학회 권준수 부회장(서울의대)은 30일 코엑스에서 진행중인 K-HOSPITAL FAIR에서 마련된 '지속 가능한 핼스케어 생태계 조성을 위한 스마트 의료의 미래'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권 부회장은 먼저 코로나 대유행이 의료의 디지털 전환은 물론 원격 의료에 대한 수요를 급격하게 불러왔다고 설명했다. 디지털헬스케어의 미래가 최소 몇년 이상 앞당겨 졌다는 것.
권 부회장은 "지금까지 병원은 아날로그 기반에서도 잘 굴러갔지만 이제는 디지털이 스며들고 있다"며 "보다 효율화된 시스템을 위해 디지털 시스템이 자리를 잡아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특히 코로나 대유행 등으로 비대면과 디지털에 대한 수요가 폭발했고 원격 의료 등에 수요도 급격하게 불러왔다"며 "원격 의료의 개념도 이와 같이 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한 면에서 그는 이미 원격 의료에 대한 운영 프로세스는 자리가 잡혔다고 정의했다. 이미 수많은 기업들과 프로그램을 통해 그 준비는 이미 끝났다는 것.
또한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 등으로 이에 대한 기반 기술도 충분히 검증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권준수 부회장은 "단순히 원격 의료의 운영 프로세스를 보면 다지털 기기를 통해 문진표를 작성하고 의사를 선택한 뒤 진료 일정을 잡아 화상 진료를 시작하는 시스템"이라며 "이후 증상과 환부에 대해 전문의와 공유하고 정보를 분석한 뒤 처방전을 교부하는 것으로 현재 의료 행위를 모두 디지털에 얹는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중 가장 중요한 기반은 환자 스스로 혈당과 체중, 혈압, 콜레스테롤, 심전도 등을 측적하는 것"이라며 "벌써 이미 환자들은 그 데이터를 원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준비도 마친 상태"라고 전했다.
프로그램 또한 마차가지다. 이미 텔라닥이 원격 의료에 대한 강력한 플랫폼을 구성하고 있고 GE헬스케어, 존슨앤 존슨 등이 원격 모니터링 기술을 확보했으며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도 충분히 검증을 마쳤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또한 국내에서도 네이버 라인 등이 원격 의료 플랫폼을 갖췄으며 휴이노, 웰리시스 등이 원격 모니터링 기술을 가지고 있고 뷰노, 루닛, 뉴로핏 등이 인공지능 기반 의료영상정보 시스템을 확보했다고 그는 평가했다.
권준수 부회장은 "미국의 경우 원격 의료의 연 평균 수익 성장률이 38.2%에 달한다"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또한 연 평균 성장률이 43%에 달하며 모바일 헬스케어 또한 37%에 이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기에 그는 궁극적으로 앞으로의 의료가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의 연결 의료로 갈 수 밖에 없다고 단정했다.
물론 각종 규제 요인과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통합 문제 등의 저해 요인 등이 아직까지 존재하지만 결국 가야할 방향은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권 부회장은 "우리나라에서의 원격 의료는 정치적, 제도적으로 풀어야할 문제가 많지만 이미 미래는 정해져 있다"며 "갈 수 밖에 없는 방향인 만큼 이제는 우리나라 상황에 맞춰 적절하게 어떻게 가는가에 대한 문제만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일부 개원가에서 원격 의료가 상급종합병원 쏠림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지만 오히려 이 시스템은 개원가에서 더욱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그러한 면에서 권준수 부회장은 이제 의료계와 사회가 모두 연결 의료의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웨어러블 기기 등을 통해 모아진 패시브 데이터가 자동으로 클라우드 데이터 베이스로 가고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분석이 이뤄진 뒤 임상 피드백으로 가는 시스템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것.
권준수 부회장은 "결국 가장 최적의 시기에 의료서비스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선순환 구조가 필수적인 만큼 이러한 시스템은 곧 표준이 될 것"이라며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 바이오센서 등을 통해서 의료진과 서비스 대상인 환자, 기업이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며 보다 효율적인 진료 시스템을 만들어 가는 연결 의료는 피할 수 없는 시대 흐름"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