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의료기기·AI
  • 마케팅·유통

비대면 진료 플랫폼 놓고 속태우는 기업들…그 사정은?

발행날짜: 2022-05-02 05:30:00

대기업들, 개발 끝내고도 의료계 눈치에 진입 시기 장고 지속
빈자리 노린 스타트업 20여개 급성장세…플랫폼 경쟁 본격화

정부가 코로나 대유행 대응을 위해 한시적으로 허용했던 비대면 진료의 빗장을 영속적으로 여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의료정보 기업들의 고민이 한층 더 깊어지고 있다.

이미 개발을 끝내고도 혹여 의·약사 고객들의 민심을 잃을까 공개하지 못했던 상황에서 제도가 급물살을 타자 이제는 시장 진입 여부와 시기를 고민해야 하는 상태에 놓였기 때문이다.

특히 이렇듯 대기업들이 장고를 지속하는 사이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위시한 스타트업들이 수십여곳 생겨나며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골머리를 썩는 모습이다.

비대면 진료 제도화 급물살…바빠진 의료정보 기업들

29일 의료산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비대면 진료에 대한 제도화에 속도를 내면서 의료정보 기업들이 이에 대한 다각도의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에 속도를 내면서 의료정보 기업들의 셈도 빨라지고 있다.

전자의무기록(EMR) 기업인 A사 임원은 "사실 언젠가 오겠지 예상은 했지만 생각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생각"이라며 "이러한 분위기라면 이르면 올해말이나 내년 초면 기반 작업이 끝나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이어 그는 "특히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의 분위기가 이 정도로 전향적으로 전환될 것이라고는 예상도 못했던 일"이라며 "회사 차원에서도 대응 전략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발전협의체 내에 비대면 진료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을 골자로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를 도모하고 있는 상태다.

또한 국회에서도 비대면 진료 허용을 기초로 하는 법안들이 속속 발의되고 있는 상태. 입법부와 행정부가 발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제도화 가능성은 그 어느때 보다 높은 상황이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비대면 진료 논의가 나올때마다 강력한 반대 입장을 보이던 의료계가 상당 부분 전향적으로 입장을 전환했다는 점이다.

대면 진료 대비 1.5배 수가 인상 등의 전제를 내걸기는 했지만 이미 2년여간 빗장이 풀어지며 돌이키기 쉽지 않은 상황이 됐다는 것을 인정하고 실익을 얻는 방향으로 선회한 셈이다.

기업들의 움직임이 바빠지고 있는 이유도 이러한 배경에 있다. 지금까지 일부 시범사업 등에만 제한적으로 참여하던 의료정보 기업들이 움직일 수 있는 명문이 생겼기 때문이다.

EMR 기업인 B사 임원은 "우리 회사 같은 경우 이미 비대면 진료가 한시적으로 허용되기 이전부터 시스템을 개발했던 상황"이라며 "고도화 작업도 한참 전에 끝낸 상태로 말 그대로 '시작' 구호만 나오면 당장 내일이라도 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다"고 귀띔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지금까지 비대면 진료에 수동적 입장을 보였던 것은 결국 우리 고객이 의사라는 점에서 민심을 우려했던 것"이라며 "막말로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라는 작은 빵 하나 먹겠다고 불매운동이라도 일어나면 초가삼간 다 타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들이 의료계의 태도 변화를 주목하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만약 실제로 대한의사협회를 중심으로 의료계가 비대면 진료에 대한 반감을 거둔다면 시장에 진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EMR 등 대기업들 이미 플랫폼 완비…진입 시점 관건

실제로 이미 EMR 시장을 잡고 있는 의료정보 기업들은 이미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완성하고 직간적접으로 이를 공개하며 운영중에 있는 상태다.

이미 플랫폼 개발을 끝낸 대기업들은 의사들의 민심을 우려하며 시장 진입 시점을 고민하고 있다.

대놓고 비대면 진료 사업에 뛰어들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방식을 통해 논란을 피해가며 서비스의 기틀을 잡아가고 있는 셈이다.

과학기술통신부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분당서울대병원과 FSH KOREA 등과 손잡고 비대면 진료 서비스 시범사업을 진행중인 이지케어텍이 대표적인 경우다.

이를 통해 이지케어텍은 이미 의원급을 넘어 병원정보시스템(HIS)과 연동되는 국내 최초의 비대면 의료 솔루션을 개발해 시범사업을 진행중에 있는 상태다.

또한 지난해에는 보건복지부와 스마트병원 선도 모델 개발 지원 사업을 진행하며 원격 중환자실 실시간 모니터링 및 비대면 시스템(eICU)도 개발했다.

이를 기반으로 해외에도 이미 깃발을 꽂은 상태다. 국내 최초로 사우디에 차세대 원격의료 솔루션 이지온더콜(ezOntheCall)을 수출하며 플랫폼 완성도를 증명했기 때문이다.

이지케어텍 위원량 대표는 "이지케어텍의 비대면 진료 솔루션은 HIS와 연동되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비대면 솔루션"이라며 "HIS에 저장된 의무기록 등을 활용해 진료의 연속성과 편리함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병원급 비대면 진료에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비트컴퓨터도 정부 시범사업을 통해 이미 그 시스템의 완성도를 검증받은 상태다. 지난해까지 전국 5000개 의원에 비대면 진료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운영중인 상황.

비트컴퓨터는 환자가 모바일 기기로 의료기관에 온라인 접속하면 자사의 EMR 시스템과 연계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이미 2년여 만에 누적 비대면 진료수만 300만건을 넘어선 상태다.

유비케어 또한 간접적으로 비대면 진료에 참여하고 있다. 이지케어텍과 비트컴퓨터 등이 정부의 시범사업 진행 등을 통해 논란을 피했다면 유비케어는 자회사를 활용하는 방식을 택했다.

지분 37.8%를 보유한 비브로스의 '똑딱'을 통해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진행중에 있는 것. 유비케어의 EMR '의사랑'과의 연계성을 기반으로 온라인-오프라인(O2O) 방식의 서비스를 확장해 가고 있다.

똑딱이 병의원 예약서비스를 통해 700만명에 달하는 회원수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중점 비지니스 모델은 이 서비스로 가져가되 이 네트워크와 회원을 의사랑과 연계하는 방식으로 비대면 진료 시장의 가능성을 엿보고 있는 셈이다.

비대면 진료 스타트업만 수십개 진입…누가 승기 잡을까

이에 따라 만약 비대면 진료가 실제로 제도화 단계에 이르렀을때 과연 어느 기업이 승기를 잡느냐고 새로운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어플을 기반으로 하는 비대면 진료 플랫폼 스타트업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연 누가 승기를 잡을지 주목된다.

의료정보기업들이 의사들의 민심을 살피느라 시장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사이 수십개의 기업들이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국내에서는 닥터나우의 닥터나우를 비롯해 메디히어의 닥터히어, 라이프시맨틱스의 닥터콜, 블루앤트의 올라케어 등 자리를 잡은 기업들을 포함해 수십개 스타트업들이 점유율 경쟁을 펼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중 상당수가 2018년에서 2020년 사이에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진료 한시적 허용으로 급성장을 이뤄낸 기업들로 꼽힌다.

이들 플랫폼 중에서 빅3로 꼽히는 닥터나우의 경우 비대면 진료 한시적 허용 이후 누적 사용자가 이미 300만명을 넘어섰다.

또한 블루앤트의 올라케어도 지난해 8월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불과 몇개월만에 누적 진료 건수 50만건을 돌파하며 급성장세를 타고 있다.

아울러 라이프시맨틱스는 닥터콜에 서울성모병원 등 대학병원과의 비대면 진료 기능을 추가하면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상황.

이들 기업들은 이미 쌓여가고 있는 환자들의 경험과 기업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라이프시맨틱스 송승재 대표는 "코로나 재택치료와 비대면 진료가 진행되면서 이미 환자들은 비대면 진료에 대한 경험을 쌓고 있다"며 "이를 통해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 대면 진료 중심의 기존 의료 소비 패턴에도 많은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대기업인 의료정보 기업들은 결국 이들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되면 판도가 완전히 뒤바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EMR 등이 가지는 플랫폼 파워를 무시할 수 없는데다 인력과 인프라 등에서 경쟁이 되지 않을 수준의 격차가 있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EMR 기업인 C사 임원은 "아직 상황을 지켜봐야 겠지만 실제로 의료정보 기업들이 비대면 진료에 진심으로 참여한다면 지금처럼 스타트업이 난립하는 상황은 일시에 정리될 것으로 본다"며 "전국 의사들의 앞에 놓인 EMR이 가지는 플랫폼 파워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현재 대다수의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 의사가 EMR과 비대면 진료 플랫폼을 모두 켜놓고 차트를 쓰고 이를 복사해 플랫폼에 입력하고 다시 또 정리해 약국에 보내고 하는 이중 삼중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며 "EMR에서 한번에 해결된다면 어느 의사가 불편한 이 플랫폼을 쓰겠느냐"고 되물었다.

다른 기업들도 마찬가지 반응이다. 일부 브랜드가 확립되고 EMR과의 연동 등을 이미 이뤄낸 기업들이 아니라면 생존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의료정보 기업인 B사 임원은 "솔직히 현재 비대면 플랫폼 중에서 두군데 정도는 경쟁력이 있다고 본다"며 "하지만 나머지 기업들은 브랜드와 인프라 면에서 경쟁 구도 자체가 성립될 수 없는 구조"라고 전했다.

아울러 그는 "클라우드 EMR과 비대면 진료 플랫폼이 한데 묶이면 그걸로 이미 게임은 끝난다"며 "문제는 누가 어떤 방식으로 의사들의 반감없이 시장에 먼저 안착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