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강경 결직장암 수술후 조기회복 프로그램을 적용한 70세 이상 노인도 젊은 사람과 비슷한 회복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대 안암병원 대장항문외과 김선한 교수팀이 지난 2009년 8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복강경 결직장암 수술을 받고 수술 후 조기 회복프로그램을 적용한 총 303명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기회복프로그램이란 수술전후 환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고,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해 합병증을 줄이고 빠른 회복을 돕는 프로그램으로 결직장암 수술 환자에게는 ▲수술전 환자 교육 ▲장청소제 복용 생략 ▲최소금식 ▲효과적 마취와 수술후 통증조절 ▲조기음식섭취 ▲조기보행 등을 실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하단 표 참조)
그 동안 고령환자의 경우 젊은 환자에 비해 만성질환을 많이 갖고 있고, 수술 합병증도 더 많을 것으로 염려되어 프로그램의 적용이 제한되어 왔다. 하지만 김선한 교수팀의 조사결과 기존의 이러한 선입견을 뒤집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조사대상 총 303명의 환자 중 중 70세 이상이 77명, 70세 이하가 226명으로 나이 이외에 성별, BMI, 수술종류, 수술시간, 수술중 출혈량 등은 두 집단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심혈관계질환, 호흡기계질환, 다른암의 동반여부가 70세 이상 집단에서 높았다.
하지만 수술결과는 두 집단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평균 가스배출 2일, 대변배출 3일, 식이섭취 2일, 도뇨관제거 2일, 항생제 사용일수 1일로 70세 이상이나 이하에서 차이가 없었다.
또 수술 후 입원기간 동안의 합병증 발생 역시 70세 이상이 26%(20명), 70세 이하가 31.9%(72)명으로 큰 차이가 없었고, 수술 후 입원기간도 각각 8일과 9일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아 70세 이상이나 이하나 모두 조기회복프로그램의 적용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퇴원후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재입원한 경우가 70세 이상에서 11.7%(9명)으로 70세 미만 4.0%(9명)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그 원인을 분석한 결과 고령환자군에서 퇴원 후 장운동 저하 혹은 장마비 증상으로 식이가 원활치 못한 비율이 높았던 것 때문이며, 일반적으로 고령에서 면역력 감퇴로 인하여 수술 후 우려되는 감염이나 기존 노인성질환이 악화된 경우는 없었다.
때문에 고령환자의 경우에는 퇴원시 장운동이 빨리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가벼운 운동 등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과 아울러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약물의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조기회복프로그램은 서구에서는 이미 보편화되어있지만 아시아권, 특히 한국에서는 적용사례가 매우 적었다.
특히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젊은층과 마찬가지로 고령환자에게도 프로그램 적용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결직장암 고령환자에게 확대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기회복프로그램을 실시할 때는 수술 전 환자교육을 통하여 환자와 보호자의 이해를 돕고 빠른 퇴원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도록 해 조기회복프로그램에 스스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고통스러운 장청소 과정을 생략하고 금식을 최소화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과 전해질 불균형과 같은 문제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한다.
더불어 적절한 수술 후 통증조절을 통해 환자의 조기 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장운동을 떨어뜨리는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제한 및 조기음식섭취를 함으로써 장운동의 회복을 촉진하고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김선한 교수는 "전체 인구가 고령화되고 있고, 결직장암 환자가 비교적 다른 암에 비해 고령이기 때문에 이번 결과가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현재는 복강경, 로봇수술 등 최소침습수술이 많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조기회복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연세가 많은신 분들도 얼마든지 빨리 회복하고 정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을 뿐 아니라 고령의 환자에서 조기회복프로그램의 장점이 더욱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