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폐암의 항암제 내성 극복을 위한 주요 기전이 규명돼 2세대 표적 치료제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고경화)은 13일 "세브란스병원 조병철 교수팀(연세대 하상준)이 난치성 폐암의 표적치료를 위한 2세대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치료제 개발의 주요 기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현재 폐암 환자의 약 30%는 EGFR 돌연변이를 지니고 있어, 1세대 표적치료제 이레사와 타세바에 좋은 초기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평균 8~10개월 후 내성을 보여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인 상황이다.
연구팀은 표적 치료제 내성 폐암 세포주와 생쥐 모델을 이용해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내성 기전으로 'IL-6/JAK/STAT3' 신호전달 체계가 활성화됨을 확인했다.
또한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했을 때,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 후보물질의 항암효과가 증가한다는 사실도 관찰했다.
연구팀은 2세대 EGFR 표적 치료제에 대해 폐암 세포가 빠르게 원발 내성를 획득해 신호전달체계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연간 2만 여명의 폐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 6천 여명이 1세대 EGFR 표적 치료제 내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병철 교수(종양내과)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EGFR 표적 치료제 효과를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라면서 "다국적제약사의 신규 항암제인 아파티닙과 룩소리티닙을 병용해 내성기전을 억제하고 치료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협동중개연구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국제 학술지 'Molecular Cancer Therapeutics'(IF=5.20)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