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데이터에 비해 너무 방대해 이전 방법이나 도구로 수집, 저장, 검색, 분석, 시각화 등이 어려운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세트.
지난해부터 대세단어로 떠오른 '빅데이터'의 사전적 정의다.
보건의료분야에서도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보건복지부 양대 산하기관인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도 앞다퉈 빅데이터 활용 방법 찾기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들 두 기관은 제각각 행보를 걷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최근 공단과 심평원은 사흘사이 잇따라 '빅데이터'를 주제로 설명회와 포럼을 개최했다.
양 기관은 인구학적 정보인 환자정보에 기반해 정형화되지 않은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공단은 국민 100만명의 건강기록 자료를 바탕으로 가공한 표본 코호트 DB와 희귀질병, 건강검진 DB 공개를 추진하고 있다.
심평원은 청구명세서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형 건강정보서비스(PHR) 도입을 재추진하고 있다.
이들 두 기관아 보유하고 있는 어마어마한 양의 보건의료기록들은 각각으로서도 가치가 있지만 합쳐졌을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융합'이 관건이라는 사실은 어느 누구도 부인하기 힘든 사실이다.
실제 양 기관이 주최한 행사에서도 "공단과 심평원의 정보연계가 중요하다", "통합 플랫폼이 중요하다", "중복되는 자료가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우려의 목소리들이 쏟아졌다.
양 기관 당사자들도 서로가 갖고 있는 자료 결합의 중요성을 공감하고는 있었지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합동 논의는 시도조차도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심평원 관계자는 "과거에는 공단과 정보연계 MOU가 체결돼 주기적으로 협력했었는데 업무 등이 늘어나면서 최근에는 못하고 있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정보연계는 공단뿐만 아니라 복지부, 다른 산하기관 사이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많은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알고는 있지만 서로 먼저 다가갈 생각은 하고 있지 않는 공단과 심평원. 두 기관은 '빅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고 싶다면 먼저 '양기관 합동TFT'를 만들어 논의하는게 순서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앞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