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오는 9월 설립 예정인 '의료기기 특성화대학원'에 서울대, 성균관대, 동국대 등 서울 소재 3개 대학만이 최종 참여신청 제안서를 제출했다.
지난 1월 사업설명회를 시작으로 그동안 전국 대학에 의료기기 특성화대학원 참여를 적극 독려하며 '흥행몰이'를 기대했던 정부로서는 다소 실망스러운 참여율이다.
이는 대학 입장에서 국내 첫 의료기기 관련 전문대학원 설립이라는 메리트보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선 의료기기 특성화대학원 운영에 필요한 정부지원금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오는 5월부터 12월 31일까지 1차년도 사업이 시작되는 의료기기산업 특성화대학원은 올해 2학기 중 학과 또는 전공 학위과정을 설치해 신입생 선발이 가능한 대학 1곳이 3억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아 운영에 들어간다.
하지만 대학은 정부지원금 3억원 중 30% 이내(9000만원)로 장학금을 조성해야 하고, 정부지원금 중 장학금에 대해 1:1 이상의 대응자금(matching-fund)도 현금으로 부담해야 한다.
즉, 예산의 상당 부분을 학생 장학금으로 지급해야 하는 대학 입장에서는 정부지원금이 갖는 인건비 혜택이 크지 않은 셈이다.
앞서 많은 대학들이 의료기기산업의 가파른 성장세를 감안해 참여의향서를 내는 등 의료기기 특성화대학원에 큰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의료기기 관련 ▲인허가 ▲치료재료ㆍ신의료기술 경제성평가 ▲마케팅 등 의공학ㆍ의학ㆍ경영ㆍ법학 등 다학제 간 융합지식을 교육할 수 있는 커리큘럼 개설과 전담 교수 및 외부 강사진 구성에 부담감을 느껴 최종 참여 신청은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의료기기업체들이 좁은 내수시장을 벗어나 해외수출을 많이 하면서 의료기기 인허가와 품질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100명 이하 의료기기업체의 경우 인허가ㆍ품질관리업무를 1~2명이 담당하고 있을 정도로 심각한 인력난에 처해 있는 게 현실이다.
정부가 의료기기 인허가와 품질관리는 물론 치료재료 및 신의료기술 경제성평가 등 의료기기산업 전반에 걸친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추진한 의료기기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을 '흥행'과 상관없이 내실 있는 운영을 통해 반드시 성공시켜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