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의협 동아홀에서 열린 ‘치메로살 안전한가?' 공청회에서 토론자들은 치메로살의 위해성이 확실히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최소한 생후 6개월 미만 영유아에 대한 접종은 피해야 한다는데 뜻을 같이 했다.
또 앞으로 업체들에 대한 치메로살 함유 백신 제조를 지양하는 정부정책과 제약사와 전문가단체의 검증체계 구축 노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하지만 당초 참석키로 했던 복지부, 식약청등 관계당국 공무원과 제약사 대표가 불참 아쉬움을 남겼다.
이 자리에서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은 치메로살의 위험성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아울러 당장생후 6개월 미만 영유아에 대한 치메로살 함유 백신접종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김자혜 사무총장은 “이번 바가지백신 사건은 제약사 식약청 언론 의료계 등 네 기둥이 제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데서 기인한다”며 “제대로 정보를 전달받지 못한 소비자들만 피해를 입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사무총장은 “치메로살의 안전성 문제는 정치논리와 경제논리를 떠나 과학적 논리로 접근되어야 한다”며 “지금이라도 당장 모든 치메로살 함유 백신을 수거해야 하며, 그것이 어렵다면 6개월 미만 영유아에게 만이라도 접종을 중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 최예용 기획실장은 “사전 예방 원칙에 따라 앞으로 문제가 발생하고 그 문제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야기할 것으로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면 피하거나 예방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치메로살 함유 백신의 공급을 차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민간집단에 대한 접종만이라도 중단되어야 한다”고 거들었다.
최 실장은 이어 “이같은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리감독기관의 투명한 행정과 보건의료계의 자기검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계는 치메로살 무함유 백신의 안전성을 강조하고, 당국의 조치에 불만을 표시했다.
대한가정의학과개원의협의회 윤해영 회장은 “치메로살 함유여부에 따라 백신으 효능과 가격에 차이가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인데도 식약청은 이를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회장은 2000원짜리 해장국과 호텔의 10만원짜리 정식을 동일시하는 것은 잘못된 발상”이라고 빗대어 말하고 “이번 사건은 매스컴의 센세이셔널리즘이 촉발했고 당국은 불을 붙인 격이 됐으며 의사와 국민들은 매스컴의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 장훈 회장은 “미국 영국 덴마크 등 선진국의 경우 백신의 치메로살 함유량을 줄이거나 아예 줄일 것을 권고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치메로살의 위험성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무함유 백신 사용을 유도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