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들이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신생아중환자실에 대한 투자를 기피하면서 적절한 응급처치를 하지 못해 미숙아가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의사 행위료 현실화를 포함한 적정보상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한 대학병원에 600g이 채 되지 않는 미숙아가 긴급 후송돼 왔다. 당시 이 미숙아는 호흡이 극히 어려운 상황이었고, 호흡부전증을 막기 위해서는 고빈도 인공호흡기가 필요했다.
그러나 이 병원은 이 기기를 갖추고 있지 않아 인근 대형병원들을 대상으로 급히 수소문했지만 한 곳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이 미숙아는 적절한 처치를 받지 못해 하루만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병원 관계자는 11일 “고빈도 인공호흡기만 있었어도 응급상황은 넘길 수 있었을텐데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 장비는 약 6만달러 상당의 고가 수입장비이긴 하지만 MRI나 CT 등에 비하면 그리 비싼 것도 아니다.
그러나 이 병원 신생아중환자실은 수년전부터 이 장비 구입을 병원측에 요청했지만 매년 적자를 내자 난색을 표시해 왔고, 장비가 없어 치료를 못하면 다른 병원으로 후송하라는 핀잔까지 들었다.
이 관계자는 “이 장비를 갖추지 못한 다른 대학병원들도 사정이 비슷하지 않겠느냐”고 안타까워했다.
최근 대한신생아학회가 외부 연구용역을 의뢰한 결과 신생아중환자실에 84일간 입원한 미숙아에 투입된 의사의 진찰료는 1일 176원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회 관계자는 “환자 1인당 300만원 이상 적자가 발생하고, 연간 신생아실에서만 수십억원의 손해를 보는데 누가 투자를 하려 하겠느냐”면서 “정부가 적정보상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 말로만 저출산대책을 외친다면 미숙아 사망률은 크게 높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