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구급차의 환자 이송시간이 선진국 기준에 크게 못 미쳐 응급환자의 예후를 확보하는데 큰 위협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2003년 한해 국내 119구급차의 이송건수중 4건중의 1건은 환자의 신고로부터 30분 이상 이송시간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시간 이상이나 소요된 경우도 전체의 7.2%를 차지했으며, 31~60분이 20%, 21~30분이 17.9%, 11~20분이 25.2%이며 10분 이내인 경우는 29.7%에 불과했다.
특히 서울지역은 1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전체의 16%에 육박했으며, 30분 이상 걸리는 비율이 전체의 절반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열악한 교통여건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이같은 결과가 응급의료의 가장 최소한의 요건도 만족시키지 못하는 수준임을 지적한다.
연세대 이한식 응급의료과장은 "선진국의 경우 중환자의 경우 도시지역에서는 5분 이내, 시외지역에서는 10분 이내에 전문진료팀과 장비가 환자에게 도착하다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 이송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했다.
그러나 이같은 문제를 단순히 우리나라의 교통체증만으로 원인을 돌릴 수는 없는 일이다.
왜냐면 응급환자 가운데는 119 구급대에 신고를 하고도 이송시간이 길어져 어쩔 수 없이 개별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기때문이다.
실제로 정부의 소방행정자료 통계에 따르면 2002년 한해 119구급대에 신고된 환자 가운데는 119구급차의 도착이 늦어져서 결국 다른 차량을 이용해 환자를 이송한 '미이송률'이 전체 신고건수의 7.4%를 차지한다.
특히 서울의 경우 10%이상이 신고를 해 놓고도 타 차량을 이용했는데, 이같은 결과는 119구급차의 이송 지체을 단지 도심체증만으로 합리화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에 대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미경 박사는 "응급의료서비스에서 신속한 이송은 응급환자의 예후를 위해 반드시 확보돼야 하는 중요한 요소"라면서 "우리나라의 이송서비스 수준은 외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