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업전담 공중보건의'의 60% 이상이 지역보건사업과 무관한 일에 종사하고 있고 95% 이상이 복지부 지침과 달리 임상진료를 병행하고 있어 이 제도에 대한 대대적인 손질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같은 사실은 강원의대 조희숙 교수팀(예방의학교실)이 최근 발표한 ‘보건사업전담 공중보건의사 직무만족도 및 제도 개선방안’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보건사업전담 공보의는 보건소의 임상진료활동뿐 아니라 지역보건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2002년부터 각 보건소에 1인씩 배치되어 이에 대한 계획과 수행 및 평가 등의 업무를 맡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전국의 보건사업전담 공보의 138명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복지부의 지침대로 ‘진료업무를 완전히 배제하고 보건사업만을 전담한 경우는 전체의 4.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같은 보건소에 근무하는 동료 공보의들과 역할에 차이가 없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52.1%를 차지했으며, 보건사업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진료만 하는 경우도 10%가 넘었다.
또 평일에 평균 7시간 이상 진료를 맡은 보건사업 전담의도 17.7%를 차지했으며, 이들에게 지원하도록 돼 있는 보건활동 장려금을 전혀 받지 못한 비율이 26%나 됐다.
직무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33.3%, 만족하지 않는다가 37.5%로 나타나 조사 응답자의 70.8%가 불만족군에 해당됐다.
이에 따라 보건전담 공보의로 재임용되기를 희망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81%가 희망하지 않는다고 응답해 직무에 대한 만족도도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이같은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무엇보다 '행정적 권한강화(33.7%)'가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구체적 사업항목을 명시해줄 것(28.4%)', '진료의 완전 배제(24.2%)'등을 꼽았다.
연구를 맡은 조희숙 교수는 이에 대해 "보건사업전담 공보의들에게 제공되는 체계적인 교육훈련이 부족하고 수행해야할 업무의 범위가 모호하다는 점, 그리고 진료에 참여하는 비율이 너무 높고, 보건사업 등에 참가하는 비율은 낮다"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초기 직무배치과정에서 본인의 의사를 반영해 주고 지역의 보건대학원과의 연계 등을 통해 이들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면서 "정부가 이들이 수행할 보건사업의 범위와 내용을 보다 명확히 제시해 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