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협회가 개원의단체라는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대한개원의협의회가 최근 신임 회장 선출 후 상견례를 겸한 첫 상임이사회를 가졌다.
이날 이사회의 가장 큰 화두는 개원의들의 ‘권익보호’와 ‘의권신장’이다.
회장을 비롯한 신임 이사진은 대개협의 존재이유가 3만 명에 육박하는 개원의들의 대표단체로서 앞으로의 모든 사업을 회원의 권익에 집중시킨다는 방침을 정했다.
김일중 회장은 대개협의 역량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지역별 지부 설치와 진료과별 화합 그리고 의협 위상강화를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는 개원의 대표단체임에도 불구하고 이사진만의 단체로 정체되어 있다는 시각과 의료제도 개선 논의시 진료과별 내부적 충돌이 빈번한 현재의 행태를 바꿔 전체 개원의를 아우르는 거시적인 관점이 필요하다는 김 회장의 의지가 녹아있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일각에서 개원의 단체로 비춰지는 의협을 10만 의사의 종주단체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협의 위상강화이다.
다시 말해, 대개협을 의학회와 병협 등 직역별 의료단체와 어깨를 겨눌 수 있는 단체로 발전시켜 의협을 현재보다 상위단체로 격상시키고 직역별 산하단체가 본래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문제는 대개협의 현 위상과 조직력으로 단기간에 개원의 전체를 대변하기 힘들다는 부분과 의원급 원장들의 목소리가 높은 의협이 병원장과 교수, 전공의, 공보의 등 모든 직역을 대변하기에는 보이지 않은 걸림돌이 산적해있다는 점이다.
의협도 이미 명칭 개정을 통한 협회의 위상을 높이겠다는 포부를 출범시부터 밝혔지만 커질 때로 커진 의학회와 병협, 대전협을 설득하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몇 달 전 복지부 주재로 열린 신종플루 관련 의료계 직역단체와의 비공개 회의에서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본의든, 본의가 아니든 의협 회장을 개원의협회 회장으로 호칭한 부분도 의협이 지닌 현재의 딜레마를 반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