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계에 연구중심병원이라는 새로운 물결이 밀려오고 있다.
지난 3일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이 직접 나서 대학병원들과 1시간이 넘게 토론회를 갖은 것은 단순한 행사로 보기에 무게감이 더해지고 있다.
토론회에서 병원들은 예산과 인센티브 마련을 강력히 요구하면서도 연구중심병원이라는 대전제에는 공감하는 모습이다.
이를 뒤집어 보면, 대형병원 스스로 경증환자 치료와 외래 및 검사 중심의 진료패턴이 불러올 한계를 자인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고 그동안의 외래 수입을 포기하고 연구병원으로 전환하기에는 위험성이 적지 않다.
하지만 연구중심병원 정책은 지난해말 대통령에게 보고된 사항이라는 점에서 당근책을 요구하면서 무조건 버티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연구중심병원이 지닌 또 다른 문제는 병원간 위화감 조성이다.
아직 논의 상태이나 연구중심병원 선정 대상이 일부 상급병원이나 전문병원에 국한될 가능성이 높다.
일례로, 복지부가 쟁점사항으로 제시한 연구중심병원에 포함되지 않은 병원들의 반발도 배제할 수 없다.
복지부장관이 언급한대로 연구중심병원이 속도전이 아닌 이상 다소 시간적 여유는 있지만 정책방향 궤도 수정은 사실상 기대하기 힘들어 보인다.
더 늦기 전에 대형병원들이 자신의 현 좌표를 정확히 파악해 급변하는 정책방향에 어떤 흐름을 탈지를 진단해 봐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