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암학회를 비롯, 폐암학회, 위암학회 등 암 연관학회들이 '암협의회'를 대정부 창구로 삼아 정부의 암 정책에 깊숙히 관여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어 주목된다.
단순히 연구모임으로 그치지 않고 활발한 회의를 통해 전문가로써 국가 암관리 사업에 목소리를 내겠다는 것이다.
대한암학회 김열홍 총무이사(고려의대)는 11일 "지난해 암협의회를 조직했지만 몇차례 회의를 갖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며 "올해부터는 최대한 많은 만남을 가지며 힘을 합치는 방향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암협의회는 우선 세계 학계에 국내 암 전문가들의 대표단체로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UICC 등 세계적인 암 진단과 예방대책을 세우는 단체에 협의회의 임원들을 대거 참석시켜 주도적인 위치에 올라서겠다는 것.
김 이사는 "지금도 세계 학계에서 한국 암 의사들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제는 협의회를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이를 뒷받침할 예정"이라며 전했다.
그는 이어 "국내 암 의사들의 공통된 목소리와 방향성을 가지고 간다는 점에서 그만큼 더 힘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세계 학회에 한국의 위치를 격상시킬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암 관련 전문가들의 최고 협의체로서 정부의 암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한다는 방침도 세워놓았다.
또한 이를 통해 정부에 암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책마련을 촉구한다는 계획이다.
김 이사는 "국가에서 암 관리를 너무 쉽게 보고 있는 경향이 있다"며 "미국의 경우 대통령 직속 암 협의회가 있어 국가 암 관리사업을 총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각 부처마다 업무가 산개돼 있어 비효율적으로 예산이 운용되고 있다는 지적.
김열홍 이사는 "암 조기검진 사업과 급여정책, 교육사업이 모두 다른 부처, 부서에서 이뤄지다보니 서로간에 조율이 되고 있지 않는 부분이 있다"며 "이로 인해 교과부, 지경부, 복지부의 예산이 중복투자되고 따로 관리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암협의회가 큰 틀에서 논의를 하고 싶어도 마땅한 카운터파트가 없는 것도 사실"이라며 "종합적인 정책수립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