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와 중동 국가들도 고령화에 따른 의료수급 체계의 대대적인 개혁을 추진 중에 있어 주목된다.
싱가포르와 중동지역 의료전문가들은 4일 병원협회 주최로 63빌딩에서 열린 ‘Korea Healthcare Congress’ 분과토의에서 “고령화와 생활습관병 증가로 인해 의료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있어 의료시스템의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싱헬스센터 제레미 림(Jeremy Lim) 원장은 “싱가포르가 과거 급성질환 관리에 역점을 두었으며 적은 지출로 효율적인 성과를 가져왔다”면서 “하지만 인구고령화와 만성질환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별 보건서비스 재조직 사업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림 원장은 “지역별 급성질환담당 병원과 재활센터, 장기요양시설, 가정요양 제공기관의 상호협력 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여기에는 환자정보 공유와 팀 기반 치료에 필요한 국가전자의무기록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정보기술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특히 “새로운 치료모델을 뒷받침하기 위한 재정적 변화와 의료기관 및 환자와 일반인 모두의 마인드 변화가 필수적”이라고 전하고 “임상분야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개혁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유국인 중동국 국가들도 동일한 고민에 빠졌다.
중동 의료분야 투자업체 CEO인 마크 에르하르트(Mark Erhart) 대표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 페르시아만안협력회의 6개 국가가 의료시스템의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면서 “비만과 당뇨 환자가 늘어나고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많은 국가들이 의료수급 격차해소를 위해 민간의료에 눈을 돌리는 등 의료개혁에 착수했다”며 “일부 국가에서는 자국민과 국내 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강제 의료보험을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혁신자의 처방’ 공동저자인 제인슨 황 박사는 “급성기 질환 치료에만 매달리는 전통적인 모델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지 않으면 안될 시기가 왔다”면서 국가와 의료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