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용어의 한글화 문제를 두고 찬반이 엇갈렸다. 4일 아주대의료원과 의사협회가 함께 연 '의학용어 한글화와 소통의 문제'를 주제로 한 제5회 의료와 멀티미디어 심포지엄에서다.
의사협회 동아홀에서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 첫 주제발표자로 나선 아주의대 정민석 교수(해부학)은 "의학용어의 한글화는 의사와 환자 사이의 소통을 위한 충분 조건이 아닌 필요조건"이라며 한글화에 적극 찬성했다.
그는 "환자가 잘 알아듣고 의사 지시를 잘 따르면 결국 의사한테도 이로운 것"이라며 "의사가 일반인을 위해 기득권을 버리면 다른 전문가도 의사나 일반인을 위해 기득권을 버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두 번째 주제발표자인 울산의대 박인숙 교수는 박 교수는 "'균'도 한자인데 연새상 구 균을 구태여 '구슬 알 균'으로 바꾼다고 순수 우리말이 되느냐"고 반문하면서 "지금 새삼스럽게 의학용어를 바꾸려는 것은 우리나라 의학발전,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저해하는 일"이라며 반대햇다.
특히 "세계는 지금 국경 없는 무한경쟁 시대이고, 영어실력이 곧 극가경쟁력인 세상"이라며 "기존 우리말 용어에 덧붙여서 새로 바뀐 순 우리말 용어까지 배우라고 강요하는 것은 후배들의 발목을 잡는 행위이며 시대착오적인 우"라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그러면서 ▲이미 보편화된 의학용어들은 그대로 사용하고 ▲각 명칭마다 우리말을 하나씩만 알고 ▲기존의 한자 명칭이 어렵고 우리말이 더 쉬운 경우 우리말로 바꾸며 ▲인플루엔자, 스텐트, 빌리루빈 등 이미 우리말화 한 단어들은 영어발음을 그대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지제근 서울의대 명예교수는 "의학용어를 표준화 하는 작업은 시간이 걸린다"며 "여러 전문가와 충분한 토의와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현재 우리말 의학용어에서 대표용어의 선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며 "어떤 방법으로 대표용어를 선정할 것인가를 토의해야 하며, 대표용어가 선정되면 의료계와 의학계는 물론 각계에 널리 알려 더 이상의 혼란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