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효용성 연구 공모 통해 활용 근거 마련 분주
의료정책연구소도 자체 연구 예고…"객관적 검증"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2년차에 접어들면서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비대면 의료(원격의료)의 효용성을 살핀 연구들이 줄을 잇고 있다.
과거 연구가 시범사업이라는 틀 안에서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에 국한돼 시행된 것과 달리 최근 연구들은 웨어러블 기기의 진료 활용 방안 모색 및 메세지 전송 시스템을 통한 복약순응도 향상 등 포괄적 의미의 디지털 의료 활용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
특히 효용을 살핀 연구들이 주로 원격의료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의 일환이 아니냐는 시선이 나오면서 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도 객관적인 시선으로 자체 원격의료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맞불을 놓고 있다는 점에서 방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달 보건복지부 환자중심의료기술 연구사업단은 의약품·의료행위 및 의료서비스·전달체계 등 다양한 의료기술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생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올해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선정하고 연구 공모에 들어갔다.
연구는 '코로나19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비대면 진료 현황 분석 및 효과 평가'를 주제로, 비대면 진료를 받은 실험군과 대면 진료를 받은 대조군을 설정해 효과와 안전성 지표를 비교한다.
현재 국내에서 의사-환자간 비대면 진료는 원칙적으로 금지되나, 2020년 코로나19 감염병 유행으로 인해 한시적으로 전화처방을 허용, 비대면 진료가 의료현장에서 1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
전화상담 및 처방이 허용된 이후 국내 비대면 진료 현황을 질환, 진료과, 진료특성을 건강보험자료와 같은 거시 자료를 이용해 분석하기 때문에 특정 질환 및 제한된 자료에 근거했던 과거 시범사업 연구보다 실재성을 담보한다는 것이 사업단 측의 평가.
이를 통해 비대면 진료 제공에 대한 기초 자료 확보 및 그 기반을 조성한다는 것이 연구의 활용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효용성에 무게를 둔 연구는 학계뿐 산학연에서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진행한 '비대면 의료서비스의 장점 및 필요성' 연구(doi.org/10.3904/kjm.2020.95.4.217)는 원격 모니터링의 임상적 효과를 메타 분석했다.
연구진은 원격 모니터링을 활용한 연구를 대상으로 해 표준 진료와 비교했다. 질환별로는 고혈압 20편(19.6%), 제2형 당뇨병 44편(43.1%), 심부전 38편(37.3%)을, 연구 국가별로는 한국 12편(11.8%), 미국 51편(50%), 기타 국가 39편(38.2%) 등 총 102편을 문헌 고찰했다.
그 결과 고혈압, 당뇨병, 심부전 환자 모두 원격모니터링 중재를 받은 환자군이 원격 모니터링 중재를 받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임상적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격 모니터링 중재군에서 고혈압 환자는 수축기 혈압이 4.7mmHg, 이완기 혈압이 1.9mmHg이 더 낮고, 당뇨병 환자의 경우 당화혈색소가 0.4%p가량 더 낮았다. 또 심부전 환자는 전체 사망 위험이 18% 더 낮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사용하면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도 환자는 안전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의료기관은 격리를 유지하면서도 환자 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향상된 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하게 됨으로써 의료서비스 질을 제고하고, 의료 취약지의 의료 접근성도 제고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도 자체 연구를 예고했다. 제도의 근거 마련 성격으로 진행된 과거 연구들이 제도의 장단점을 제대로 살피지 않았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시선으로 명과 암을 구분하겠다는 취지다.
우봉식 의료정책연구소장은 "정부뿐 아니라 학계에서도 다양한 원격의료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며 "연구소 차원에서 현안을 검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현안들이 의료계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객관적으로 진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정부 주도나 공모 연구들과 같이 특정 근거 마련의 일환으로 진행된 연구들은 제도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성이 나타난 바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원격의료만을 놓고 볼 때 효용이 있을 수 있지만 의료전달체계과 접점을 어떻게 찾을지, 수가 체계는 어떻게 할지 다양한 아젠다를 무시하고 효용성만을 평가하면 반쪽일 뿐"이라며 "현재 진행중인 기초 자료 수집의 조사가 끝나는대로 의협의 정책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단어 정의부터 실제 효용, 안전성 측면까지 아우르는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과거 연구가 시범사업이라는 틀 안에서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에 국한돼 시행된 것과 달리 최근 연구들은 웨어러블 기기의 진료 활용 방안 모색 및 메세지 전송 시스템을 통한 복약순응도 향상 등 포괄적 의미의 디지털 의료 활용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
특히 효용을 살핀 연구들이 주로 원격의료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의 일환이 아니냐는 시선이 나오면서 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도 객관적인 시선으로 자체 원격의료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맞불을 놓고 있다는 점에서 방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달 보건복지부 환자중심의료기술 연구사업단은 의약품·의료행위 및 의료서비스·전달체계 등 다양한 의료기술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생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올해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선정하고 연구 공모에 들어갔다.
연구는 '코로나19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비대면 진료 현황 분석 및 효과 평가'를 주제로, 비대면 진료를 받은 실험군과 대면 진료를 받은 대조군을 설정해 효과와 안전성 지표를 비교한다.
현재 국내에서 의사-환자간 비대면 진료는 원칙적으로 금지되나, 2020년 코로나19 감염병 유행으로 인해 한시적으로 전화처방을 허용, 비대면 진료가 의료현장에서 1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
전화상담 및 처방이 허용된 이후 국내 비대면 진료 현황을 질환, 진료과, 진료특성을 건강보험자료와 같은 거시 자료를 이용해 분석하기 때문에 특정 질환 및 제한된 자료에 근거했던 과거 시범사업 연구보다 실재성을 담보한다는 것이 사업단 측의 평가.
이를 통해 비대면 진료 제공에 대한 기초 자료 확보 및 그 기반을 조성한다는 것이 연구의 활용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효용성에 무게를 둔 연구는 학계뿐 산학연에서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진행한 '비대면 의료서비스의 장점 및 필요성' 연구(doi.org/10.3904/kjm.2020.95.4.217)는 원격 모니터링의 임상적 효과를 메타 분석했다.
연구진은 원격 모니터링을 활용한 연구를 대상으로 해 표준 진료와 비교했다. 질환별로는 고혈압 20편(19.6%), 제2형 당뇨병 44편(43.1%), 심부전 38편(37.3%)을, 연구 국가별로는 한국 12편(11.8%), 미국 51편(50%), 기타 국가 39편(38.2%) 등 총 102편을 문헌 고찰했다.
그 결과 고혈압, 당뇨병, 심부전 환자 모두 원격모니터링 중재를 받은 환자군이 원격 모니터링 중재를 받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임상적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격 모니터링 중재군에서 고혈압 환자는 수축기 혈압이 4.7mmHg, 이완기 혈압이 1.9mmHg이 더 낮고, 당뇨병 환자의 경우 당화혈색소가 0.4%p가량 더 낮았다. 또 심부전 환자는 전체 사망 위험이 18% 더 낮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사용하면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도 환자는 안전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의료기관은 격리를 유지하면서도 환자 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향상된 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하게 됨으로써 의료서비스 질을 제고하고, 의료 취약지의 의료 접근성도 제고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도 자체 연구를 예고했다. 제도의 근거 마련 성격으로 진행된 과거 연구들이 제도의 장단점을 제대로 살피지 않았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시선으로 명과 암을 구분하겠다는 취지다.
우봉식 의료정책연구소장은 "정부뿐 아니라 학계에서도 다양한 원격의료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며 "연구소 차원에서 현안을 검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현안들이 의료계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지 객관적으로 진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며 "정부 주도나 공모 연구들과 같이 특정 근거 마련의 일환으로 진행된 연구들은 제도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성이 나타난 바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원격의료만을 놓고 볼 때 효용이 있을 수 있지만 의료전달체계과 접점을 어떻게 찾을지, 수가 체계는 어떻게 할지 다양한 아젠다를 무시하고 효용성만을 평가하면 반쪽일 뿐"이라며 "현재 진행중인 기초 자료 수집의 조사가 끝나는대로 의협의 정책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단어 정의부터 실제 효용, 안전성 측면까지 아우르는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