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계, 복지부 눈치보기에 학술활동 급위축

박진규
발행날짜: 2009-08-31 06:46:45
  • 학술대회 호텔서 강당 이동…교실 학술행사도 재정난

[메디칼타임즈=] 국내외 제약회사들이 리베이트-약가연동제 시행 등 리베이트 근절에 나선 복지부 눈치 보기에 급급하면서 학회와 교실 학술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당장에 기부금이 끊기면서 학술대회 운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학회 관계자들은 "요즘처럼 민망하고 구차스럽기는 처음"이라며 혀를 찬다.

학회의 경우 추계학회를 앞두고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내과 계열 A학회 관계자는 "일부 약 많이 쓰는 학회를 제외하고는 모두 죽을 맛"이라며 "우리 학회의 경우만 하더라도 메인 스폰서를 잡지 못해 학회 장소 이전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과 계열 B학회 관계자는 "우리학회는 사정이 더욱 나쁘다. 기부금은 고사하고 부스도 힘들다고 손사래 치는 제약사들이 많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학회 장소를 호텔에서 대학 강당으로 옮기는 학회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C학회 이사장은 "올해 봄에 성모병원 강당에서 학술대회를 열었는데 서비스도 좋고 경비가 크게 절감되었다"며 "올해 추계학술대회도 성모병원 강당에서 열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학회들도 이제는 비용이 엄청나게 드는 호텔 대신 대학 강당 등에서 학회를 열 필요가 있다. 이제는 시대가 바뀌었다"고 말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은명대강당과 서울성모병원 강당이 최고의 인기 장소로 급부상하고 있다.

교실 주최로 열리는 행사도 크게 위축되기는 마찬가지다.

교실창립자를 기념해 매년 국제규모 학술행사를 열고 있는 D의대 피부과 주임교수는 "예전에는 기부금으로 연자 초청비용 등을 충당하곤 했는데 지금은 생각하기도 어렵다"며 "병원에서 나온 지원금과 부스 유치비용으로 충당하려 하지만 적자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근 불거진 서울대병원 마취과 사건은 교실 행사를 더욱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주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해당 교수들은 교실 창립 50주년 행사를 열면서 제약사와 의료기기업체로부터 기부금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기부금 전액을 행사 비용에 지출했다.

병원계 한 관계자는 "개인적으로 착복한 것도 아니고 식사비, 기념품비 등의 명목으로 지출한 것인데, 이것도 죄가 된다면 앞으로 교실행사는 어떻게 하겠느냐"고 푸념했다.

E의대 내과학교실 주임교수는 "리베이트를 근절하는 것에 동의하지만 이런 분위기가 학술적인 모임까지 위축시켜서는 안된다"며 "각종 학술행사의 위축은 국내 의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학술 기사

댓글 2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ㅁㄹㄴㅇㄹ 2009.08.31 14:00:02

    의사들 보아라
    우리 약사들 리베이트로 최소 5% 먹는다.

    도매에서 약 받을 때 5% 않 주면 약 않 받아 버린다.

    도매에서 않 받고 제약회사에서 약 받아도 최소 5%는 주거든

    많게는 10%에서 30% 주는 것도 있다.

    이제 너희 의사들 끝나는 날도 얼마 않 남았다.

    우리는 또 매약도 있다.

    그리고 환자가 2달 처방 받아도 환자가 돈이 없다면서

    1달 치만 가져가면 건강보험으로 2달치 청구해서 먹을 수도 있다.

    물론 그 약도 절약해서 다른 환자에게 줄수 있으니 따따블 이익이다.

    또 너희 의사들이 아무리 정품약 처방해도

    우리가 모양 비슷한 카피약으로 환자에게 주면 된다.

    이런 약일수록 원가 500원 짜리 약을 원가 300원으로 줄수 있으니

    1알당 200원씩 우리가 더 먹을수 있다.

    그것만 해도 30일 치면 6,000원이고 60일치면 12,000이다.

    또 이런 약일수록 도매상에서 챙겨 주는게 더 많거든.

    절대 환자들은 알수가 없다.

    그럼 우리는 정품으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고

    정품 대신 더 가격이 싼 카피약 쓰니 그 차액 만큼 더 챙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환자가 2달치 처방 받고 오면 너무나 좋다.

    그리고 너희 의사들이 100mg이나 80mg 짜리 처방해도

    우리가 50mg이나 40mg 으로 바꾸어 줘 버리면 된다.

    환자가 뭘 알겠어.

    그럼 우리는 또 처방전 나온 대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을 수 있고

    환자들에게 100mg이나 80mg이라고 하면서 약값을 더 받을 수도 있다.

    의사들 너희들 이제 끝났다

  • 곱게 나가리 2009.08.31 13:18:42

    면허박탈되면
    의사면허 박탈이 되면, 교수는 자동으로 짤리는 건가?
    나이 50넘어, 의사말고 할 일도 없는데, 실업자 몇 명 늘겠구나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