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비만수술 급여화는 절대 개원가에 악재가 되지 않을 겁니다. 이로 인한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일차 의료기관의 역할을 찾아가야 할 때죠."
대한비만연구의사회 김민정 회장은 24일 롯데호텔에서 열린 춘계 학술대회에서 고도비만수술 급여화의 여파를 이같이 요약했다.
급여권에 들어온 고도비만수술이 대학병원을 넘어 일선 개원가에도 큰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김 회장은 "올해부터 고도비만수술이 급여권에 들어오면서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케이스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일각에서는 환자 쏠림 등을 우려하지만 이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수술은 분명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이뤄지겠지만 수술 전후 관리는 결국 개원가에서 맡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며 "이제 비만수술과 관련한 역할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고도비만수술을 진행하기 전 사전 비만 관리가 필요하고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체중관리가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 방안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현재 수술 자체에만 적용되는 건강보험도 점차적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얻어가며 확대될 수 밖에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민정 회장은 "고도비만 환자의 대부분이 간이 비대해진 상황에 있다는 점에서 수술 전 체중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 과정까지 대학병원에서 진행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만큼 결국 일차 의료기관에서 이 역할을 담당해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결국 지금은 수술 자체만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지만 수술 전후 관리까지 총체적인 진행과정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수 밖에 없다는 의미"라며 "비만에 대한 건강보험 제도에도 지각변동이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따라서 비만연구의사회는 이러한 지각변동에 대비해 일차 의료기관에서의 비만 관리 모델을 정립하며 이를 준비하겠다는 방침이다.
학술활동과 더불어 연구와 사회공헌활동을 병행하며 의사 중심의 비만 관리 체계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김 회장은 "다른 질환과 달리 비만은 일차 의료기관이 환자의 80%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극히 예외적인 케이스"라며 "결국 개원가에서 치료의 중심을 잡아가야 한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또한 그는 "우리나라에도 비만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영역을 비의료인이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사회적 비용은 크지만 효율적이지 않은 시스템인 만큼 의료인들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비만연구의사회가 중심을 잡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