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첫 중증외상 조사 결과 발표…사망률 18.4% 중증외상 환자 4명 중 1명은 중증도 이상 장애 남아
2018년 한 해 동안 119 구급대가 응급실로 이송한 중증외상 환자는 3만여 명으로, 이 중 18.4%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외상 환자는 지역응급의료센터를 가장 많이 찾아 전문적인 치료를 받았다.
질병관리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 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운수사고나 추락, 미끄러짐 사고 등으로 인한 외상 환자 가운데 저혈압, 의식 저하, 호흡 이상을 보였거나 구급대원이 소방청 기준에 따라 중증외상 환자로 판단한 사례를 수집해 진행됐다.
그 결과, 2018년 발생한 중증외상 환자는 3만 2237명으로, 인구 10만 명 당 62.8명꼴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68.7%, 여성이 31.3%로 남성 비율이 훨씬 높았고, 연령으로는 50대가 18.4%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6488명, 경기에서 5578명 순으로 발생 환자가 많았지만, 인구 10만 명당 환자 수는 충북이 127.4명, 대전이 115.7명, 강원 102.6명 순으로 서울(67.3명)과 경기(43.4명)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응급실로 이송된 중증외상 환자 가운데 18.4%가 사망했으며, 생존자 4명 중 1명은 중증도 이상의 장애가 남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응급의료기관 유형별로 봤을 때에는 지역응급의료센터를 찾은 중증외상 환자들이 가장 많았다. 총 1만 2354명이 지역응급의료센터를 찾았고 이 중 2105명이 사망해 17%의 사망률을 기록했으며, 7901명의 환자가 치료를 받아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중증외상 환자 치료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권역외상센터의 경우 한 해 동안 6639명의 환자를 치료했는데, 1124명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률로만 본다면 16.9%로 응급의료기관 유형 중에서 가장 낮았다.
전문가들은 처음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를 두고서 향후 체계적인 외상치료 체계의 밑바탕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대한응급의학회 허탁 이사장은 "중증외상은 경제 활동 가능 인구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 조사체계가 마련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발생, 구급 대응, 응급실 및 병원 치료, 치료 후 결과까지의 기초자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외상학회 이영호 이사장 역시 "중증외상의 치료 결과를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은 지속돼 왔지만, 국가나 지역사회 단위로 발생 현황과 역학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알 수 있는 통계가 부족했었다"며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가 치료결과를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