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이 제76회 의사국가시험 최종 합격자를 발표했다. 합격률은 93.1%로, 총 3446명이 응시해 3208명이 합격의 영예를 안았다.
이중 실기시험에는 3329명이 응시해 3172명이 합격했고, 필기시험은 3363명 중 3259명이 합격해 96.9%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최근 5년간 의사국시 합격률을 보면 2008년 96.5%, 2009년 93.6%, 2010년 92.9%, 2011년 91.7%, 2012년 93.1%다. 국시 응시자 입장에서 보면 의사국시 합격률이 높으면 유리할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 생명을 다루는 의사라는 특성을 놓고 보면 적정 합격률을 유지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자칫 환자 진료에 필요한 적절한 자격을 갖추지 못한 의사가 배출된다면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전문가집단 전체의 권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의사국시 합격률이 높거나 낮으면 의사 수급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매년 의사국시 합격자가 발표되면 합격률을 놓고 논란이 벌어지는 것도 이런 점과 무관치 않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90% 정도가 적절한 합격률이라고 보고 있지만 이는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하지 않은 것이다. 절대평가를 통해 합격 여부를 가리다 보니 사회적 합의 자체가 무의미하고, 조금만 난이도를 조절하더라도 합격률이 널뛰기를 하는 게 현실이다. 그러다보니 중장기적인 의사수급 정책과 연계하기도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의학계는 수십년 전부터 의사국시 합격 여부를 절대평가가 아닌 상대평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지만 복지부가 난색을 표시하면서 공론화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의사국시는 복지부의 소관 업무이지만 전문가집단인 의협에 위임한지 오래다. 따라서 복지부는 국시 시험 출제업무만 민간에 위탁할 게 아니라 평가방식 역시 전문가집단의 자율적인 결정에 맡겨 국민과 새내기의사, 의료계가 모두 상생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