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서방형 장치 적용, ARCHWAY 연구 첫 공개
|VEGF 주사제 치료주기 문제 해결 상용화 앞둬
원종혁 기자
기사입력: 2020-07-27 05:45:57
가
URL복사
황반변성 및 망막병증에 널리 처방되는 '루센티스' '아일리아' 등 VEGF 항체주사제들에서 지적되는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시장에 등장할 전망이다.
서방형 약물전달시스템을 체내 삽입하는 방식으로, 기존 연간 12회 이상의 주사횟수를 두 번으로 줄이는 치료주기 연장 전략이 상용화 절차를 밟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 망막질환인 신생혈관 연령관련 황반변성(AMD)에 기존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주사제의 치료주기를 늘리는 신개념 치료전략의 3상임상 'ARCHWAY 연구' 결과가 최근 베일을 벗었다.
로슈 제넨텍이 개발사로, 'PDS(port delivery system)'로 명명된 최신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해 이식된 펌프로 루센티스(라니비주맙)을 전달하는 서방형 장치의 후기임상 결과지였다. 무엇보다 이번 결과에 주목할 점은, 해당 서방형 장치를 이식한 환자의 98%에서는 이후 6개월간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없었다는 대목이다.
세부데이터는 이달말 열리는 미국망막학회(ASRS) 연례학술대회 본회의에서 공개될 예정으로, 회사측은 ARCHWAY 연구 데이터를 근거로 미국FDA 및 유럽EMA 시판허가 신청에 돌입한다는 계획을 밝힌 상태다.
앞서 2상임상인 'LADDER 연구'에서도 치료주기를 6개월 이상 가져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가운데, 이번 3상임상 ARCHWAY 연구 및 진행 중인 'PORTAL 연구' 결과에 따라 허가 타임라인도 그만큼 빨라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 지난 5월에도 루센티스를 투약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PDS 서방형 방출장치를 이식했을 경우, 기존 월간 주사 치료 환자와 비교해 6개월간 시력유지 효과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결과적으로 ARCHWAY 연구의 초기 분석 결과에서도 일차 평가변수를 달성했다는 분석이었다.
로슈 본사측은 "장치의 삽입술과 용액 교환술은 삽입 환자에서 모두 좋은 내약성을 보였다. 안전성 평가에서도 기존 월간 루센티스 치료군과 비교될만한 결과지를 확인했다"면서 "현재 당뇨병성 망막병증에도 'PAGODA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PDS 장치 삽입 6개월간 최대교정시력 비열등성 "안전성 주목"
연구를 살펴보면, 신생혈관 AMD 환자 418명의 환자를 무작위로 선정해 PDS 장치를 이식한 환자와 기존 월간 1회 주사 치료군과의 최대교정시력(BCVA)을 비교하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일차 평가변수로 연구시작시점 대비 치료 36주 및 40주차 BCVA 점수 변화였고, 이차 평가변수는 이에 더해 치료기간 중심반의 두께 변화가 잡혔다.
이번에 공개된 ARCHWAY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PDS 이식 환자군에서는 연구시작시 대비 평균 0.2(시력표)가 증가했으며 환자들의 98.4%가 6개월간 이러한 치료일정을 그대로 유지했다. 비교군이었던 월간 1회 라니비주맙을 투약한 환자군에서 평균 0.5가 증가한데 비열등성을 확인한 것이다.
더불어 PDS 이식 환자군에서는 망막 두께 증가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결과를 제시했다. 중심점 두께 증가와 관련 두 개 환자군 모두 '10μm 이내' 변화를 보였기 때문이다.
책임저자인 칼 레질로(Carl Regillo) 박사는 "PDS 시스템은 약물 효과를 저하시키는 것 없이, 연간 12회가 넘는 기존 VEGF 주사제의 투약 횟수를 2회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항체주사치료제 시장에는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치료 옵션들인 2006년 노바티스 루센티스(라니비주맙)에 이어 2011년 바이엘 아일리아(애플리버셉트), 2019년 베오부(브롤루시주맙)가 글로벌 시판허가를 획득하며 시장을 양분해가는 상황이다. 여기엔 망막병증엔 오프라벨이지만 기타 악성종양에 적응증을 다양하게 보유중인 아바스틴(베바시주맙)도 자리잡고 있다.
다만 습성황반변성 치료를 위해 이들 항체주사제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치료효과가 1~2개월로 짧고 장기간에 걸쳐 빈번한 검사와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진료현장에는 애로사항도 많이 나오는 분위기다. 약물의 작용기간 자체가 길지 않고, 약제에 불응하는 경우도 적지 않는 등 임상연구에 비해 치료성적이 낮다는 평가도 나오는 이유다.
때문에 최근엔 VEGF를 억제하는 기전 외에도,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약물 반감기가 긴 롱액팅(long acting) 제제를 비롯한 PDGF, ANG2, PIFG, SCF/c-KIT 등 표적물질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