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사는 40대 남성이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중년층보다 뇌졸중 발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신경과 홍지만 교수는 21일 "뇌졸중 중년 남성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이혼과 사별에 따른 불안정한 남성의 뇌졸중 발생률이 결혼한 남성에 비해 5배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1996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아주대병원 입원환자 1376명 중 40~59세 뇌졸중 남성 환자 249명을 대상으로 결혼상태와 뇌졸중 위험인자 및 각 뇌졸중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특히 허혈성 뇌졸중(뇌혈관이 막혀 생긴 뇌졸중)이 발생한 40대에서 이혼했거나 별거 (20.8%) 혹은 사별한 사람(2.8%), 즉 결혼상태 불안정군이 40대 환자의 23.6%를 차지했다.
이중 남자만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50대 남자 환자의 6.3%가 이혼 또는 별거중이었던 것에 비해, 40대 남자에서는 22.7%가 이혼 별거한 환자였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05년 인구의 연령별 성별 혼인상태 자료에서 40대 남자의 혼인상태를 일일이 분석한 결과, 40대 남자의 이혼 상태는 4.4%. 여자 6.9%, 50대 남자 5.4% 여자 5.2%로 나타났다.
이들 이혼 수치를 근간으로 40대 이혼 남성의 뇌졸중 발생비율은 22.7%를 이혼 상태 4.4%로 나눠 이혼하지 않은 남성에 비해 5배(22.7/4.4) 높다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홍지만 교수는 “이번 연구는 40,50대 중년층에서 발생한 뇌경색이 노년이나 청년의 뇌경색에 비해 발생 원인이나 기전이 아직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하고 “이혼이나 별거 혹은 사별에 의한 정신적 스트레스 뿐 아니라 이로 인한 심장병이나 과도한 흡연 등이 뇌졸중을 촉발하고 초기 뇌졸중의 강도에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10월 9일에서 12일까지 부산 BEXCO에서 열린 2008년도 대한신경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