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김승기 교수팀 "수술 후 합병증 최소화"
소아암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임상과 기초간 융합 연구결과가 발표돼 주목된다.
서울의대 신경외과 김승기 교수와 생화학교실 박웅양 교수는 5일 "소아의 악성뇌종양 중 다발생하는 수모세포종의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종양게놈 단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수모세포종 소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종양조직 게놈에 대해 RNA, DNA, 염색체 등 3단계에서 유전자 변이와 발현양상을 관찰하는 다층생명정보를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 결과, 유전자 중 Wnt, MYCC, MYCN 및 17번 염색체가 예후와 관련됐다.
Wnt 유전자의 발현은 좋은 예후를 보였고, MYCC와 MYCN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높거나 17번 염색체 단완의 소실이 있는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않았다.
수모세포종은 치료율 향상에도 불구하고 3분의 1 환자가 말기암으로 진행돼 수술과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치료 과정이 쉽지 않고, 합병증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승기 교수는 "수술 후 종양조직에서 Wnt, MYCC, MYCN 유전자 발현과 17번 유전자 단완 소실을 확인하면 예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서 "항암방사선 치료의 강도와 기간을 조절해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재단과 복지부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신경종양학회지(Neuro-Oncology, IF=5.483) 온라인판에 게재돼 학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서울의대 신경외과 김승기 교수와 생화학교실 박웅양 교수는 5일 "소아의 악성뇌종양 중 다발생하는 수모세포종의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종양게놈 단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수모세포종 소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종양조직 게놈에 대해 RNA, DNA, 염색체 등 3단계에서 유전자 변이와 발현양상을 관찰하는 다층생명정보를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 결과, 유전자 중 Wnt, MYCC, MYCN 및 17번 염색체가 예후와 관련됐다.
Wnt 유전자의 발현은 좋은 예후를 보였고, MYCC와 MYCN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높거나 17번 염색체 단완의 소실이 있는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않았다.
수모세포종은 치료율 향상에도 불구하고 3분의 1 환자가 말기암으로 진행돼 수술과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치료 과정이 쉽지 않고, 합병증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승기 교수는 "수술 후 종양조직에서 Wnt, MYCC, MYCN 유전자 발현과 17번 유전자 단완 소실을 확인하면 예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서 "항암방사선 치료의 강도와 기간을 조절해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재단과 복지부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신경종양학회지(Neuro-Oncology, IF=5.483) 온라인판에 게재돼 학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