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전문지에서 정책을 왜곡(또는 잘못) 보도해 취재에 응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보건복지부를 2년 가까이 담당하면서 공무원들에게 흔히 듣는 말이다.
언제부터인지 모르나 복지부 내부에서는 전문지를 못 믿겠다는 부정적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
어차피 의사편이고, 의료정책의 문제점만 부각시키고, 확정도 안 된 정책을 보도해 논란만 부추긴다는 게 그들의 주장이다.
<메디칼타임즈> 등 의료전문지들의 보도 행태를 보면 이같은 지적은 대부분 맞는 말이다.
의사들 시각에서 정책과 제도를 진단하고, 예상되는 부작용을 우려하고, 논의 중인 의료현안을 취재해 진행 상황을 전달해 온 것이 사실이다.
이같은 역할을 빼면 전문지로서 존재할 이유가 없다.
복지부의 의료정책은 국민(환자) 뿐 아니라 의료인과 약사, 제약업체, 의료기기업체 등 보건의료계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보도자료 한 장으로 전문지를 모두 이해시켰다고 생각하면 오판이다.
의사들이 가장 흔히 쓰는 복지부 비판 용어가 '탁상공론'이다.
사무관과 과장이 통계수치만 붙잡고 책상에 앉아 정책을 수립한다는 의미이다.
복지부 한 간부는 "정책 추진시 의료기관 몇 곳을 방문해 원장들과 진솔하게 얘기해보면 문제점과 보완책이 바로 나온다"면서 "복지부에 앉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다 해도 밖에서 듣는 것과 차이가 크다"고 말했다.
의료계 등 관련 단체와의 소통을 중시하는 임채민 장관이 느낀 전문지에 대한 견해가 더욱 궁금해지는 요즘이다.
보건복지부를 2년 가까이 담당하면서 공무원들에게 흔히 듣는 말이다.
언제부터인지 모르나 복지부 내부에서는 전문지를 못 믿겠다는 부정적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
어차피 의사편이고, 의료정책의 문제점만 부각시키고, 확정도 안 된 정책을 보도해 논란만 부추긴다는 게 그들의 주장이다.
<메디칼타임즈> 등 의료전문지들의 보도 행태를 보면 이같은 지적은 대부분 맞는 말이다.
의사들 시각에서 정책과 제도를 진단하고, 예상되는 부작용을 우려하고, 논의 중인 의료현안을 취재해 진행 상황을 전달해 온 것이 사실이다.
이같은 역할을 빼면 전문지로서 존재할 이유가 없다.
복지부의 의료정책은 국민(환자) 뿐 아니라 의료인과 약사, 제약업체, 의료기기업체 등 보건의료계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보도자료 한 장으로 전문지를 모두 이해시켰다고 생각하면 오판이다.
의사들이 가장 흔히 쓰는 복지부 비판 용어가 '탁상공론'이다.
사무관과 과장이 통계수치만 붙잡고 책상에 앉아 정책을 수립한다는 의미이다.
복지부 한 간부는 "정책 추진시 의료기관 몇 곳을 방문해 원장들과 진솔하게 얘기해보면 문제점과 보완책이 바로 나온다"면서 "복지부에 앉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다 해도 밖에서 듣는 것과 차이가 크다"고 말했다.
의료계 등 관련 단체와의 소통을 중시하는 임채민 장관이 느낀 전문지에 대한 견해가 더욱 궁금해지는 요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