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익 의원, 국립대병원 12곳 분석…충북대병원 가장 낮아
분당서울대병원을 비롯한 일부 국립대병원의 비정규직 비율이 30%를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용익 의원.
민주통합당 김용익 의원은 19일 "전국 12개 국립대병원이 지난 3년간 채용인원의 40%를 비정규직으로 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는 김용익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립대병원 비정규직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들 국립대병원은 2009년말부터 2012년 8월말까지 총 고용 증가 인원은 4730명이며, 이중 1892명(40%)이 비정규직이다.
지난해 8월말 기준으로 분당서울대병원이 37.0%로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고 양산부산대병원(36.1%), 충남대병원(29.4%), 부산대병원(24.0%), 서울대병원(23.1%) 순을 보였다.
반면, 충북대병원은 비정규직 비율이 5.5%로 국립대병원 중 현저하게 낮았다.
경상대병원과 제주대병원도 비정규직 비율이 2009년말과 비교해 4.4%p(21.6%→17.2%), 3.2%p(15.1%→11.9%) 각각 낮아졌다.

전국 12개 국립대병원 비정규직 비율.
국립대병원의 전체 비정규직 비율은 23.6%로 전체 고용인원의 4분 1(23.6%)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김용익 의원은 "질 높은 의료를 제공해야 할 국립대병원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앞장서야 한다"면서 "박근혜 정부도 국민행복 10대 공약에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약속했다"고 국립대병원의 인식전환을 촉구했다.

이는 김용익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립대병원 비정규직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들 국립대병원은 2009년말부터 2012년 8월말까지 총 고용 증가 인원은 4730명이며, 이중 1892명(40%)이 비정규직이다.
지난해 8월말 기준으로 분당서울대병원이 37.0%로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고 양산부산대병원(36.1%), 충남대병원(29.4%), 부산대병원(24.0%), 서울대병원(23.1%) 순을 보였다.
반면, 충북대병원은 비정규직 비율이 5.5%로 국립대병원 중 현저하게 낮았다.
경상대병원과 제주대병원도 비정규직 비율이 2009년말과 비교해 4.4%p(21.6%→17.2%), 3.2%p(15.1%→11.9%) 각각 낮아졌다.

김용익 의원은 "질 높은 의료를 제공해야 할 국립대병원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앞장서야 한다"면서 "박근혜 정부도 국민행복 10대 공약에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약속했다"고 국립대병원의 인식전환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