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방창현 교수 개발…"웨어러블 기기 신호탄"
국내 연구진이 목이나 손목에 붙이는 반창고 크기의 기기 만으로 심혈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소자를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간단한 부착 만으로 심혈관 질환에 대응은 물론 치료 후 모니터링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방창현 교수는 최근 피부 부착형 심혈관 상태 감지 소자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소자는 곤충의 더듬이나 소장의 융털 같은 미세 섬모 구조에서 착안한 것으로 고성능 음파 측정 장비로만 잡아낼 수 있던 미세 맥파를 측정할 수 있다.
미세한 힘을 감지하는 더듬이나 융털처럼 복잡한 굴곡이 있는 피부와 접촉 면적을 넓히는 방식을 활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노동맥과 경정맥을 모니터링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과거 고가의 삽입형 진단 장비가 일부 도입되기는 했지만 이 장비는 손목이나 목 부위에 반창고처럼 붙이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편의성과 비용이 크게 낮아졌다.
또한 기존 혈압 측정기로는 측정할 수 없는 미세한 목 부분의 경정맥파를 측정할 수 있어 활용 범위가 더욱 넓다.
연구진은 향후 심혈관 질환 모니터링 외에도 맥박, 호흡 및 활동 정보를 측정해 병리학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웨어러블 소자 기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방창현 교수는 "기본 스마트 웨어러블 소자를 경제적 비용으로 간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며 "향후 호흡 등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는 신개념 IT기술과 로봇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간단한 부착 만으로 심혈관 질환에 대응은 물론 치료 후 모니터링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방창현 교수는 최근 피부 부착형 심혈관 상태 감지 소자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소자는 곤충의 더듬이나 소장의 융털 같은 미세 섬모 구조에서 착안한 것으로 고성능 음파 측정 장비로만 잡아낼 수 있던 미세 맥파를 측정할 수 있다.
미세한 힘을 감지하는 더듬이나 융털처럼 복잡한 굴곡이 있는 피부와 접촉 면적을 넓히는 방식을 활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노동맥과 경정맥을 모니터링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과거 고가의 삽입형 진단 장비가 일부 도입되기는 했지만 이 장비는 손목이나 목 부위에 반창고처럼 붙이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편의성과 비용이 크게 낮아졌다.
또한 기존 혈압 측정기로는 측정할 수 없는 미세한 목 부분의 경정맥파를 측정할 수 있어 활용 범위가 더욱 넓다.
연구진은 향후 심혈관 질환 모니터링 외에도 맥박, 호흡 및 활동 정보를 측정해 병리학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웨어러블 소자 기술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방창현 교수는 "기본 스마트 웨어러블 소자를 경제적 비용으로 간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며 "향후 호흡 등의 생체 신호를 이용하는 신개념 IT기술과 로봇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방창혁 교수와의 일문 일답 |
이번 연구 성과의 의의는? 이번 연구는 자연 모사 기반의 미세 섬모구조를 반창고와 같이 간단한 구조의 센서에 도입해 피부의 생체 신호를 증폭하는데 집중한 결과다. 지금까지 웨어러블 센서가 측정하지 못한 목 부분의 경정맥파을 측정해 다양한 심혈관 질환의 임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상시 모니터링을 통한 심혈관 질환 조기진단용 모바일 헬스 케어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인체의 물리적 상태(호흡, 맥박, 미세 근육 떨림)를 모니터링 하는 방식으로 군사 시스템과 감성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실용화까지 필요한 시간과 향후 과제는? 3년 이내에 실용화를 기대하고 있다. 제조 공정 및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화를 이루는 것이 가장 큰 과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