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혜경 박사팀 닥나무 면역증강 물질발견

발행날짜: 2008-09-25 11:13:25
  • 한의학연구원 특허출원…건강식품·면역기능 질환 치료제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전통한지를 제조하면서 발생하는 다량의 폐수에서 면역증강 활성 효과가 있는 물질이 발견, 기능성 상품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25일 한국한의학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하혜경 박사팀은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선도형 기술혁신 전략과제 지원 사업' 연구결과, 닥나무를 사용한 전통한지 제조 과정 중 전량 폐기되던 닥나무 끓인 물에서 면역증진효과를 발견하고 특허출원했다.

이번 연구는 전통한지 제조회사에서 그동안 한지 제조과정에서 나오는 대량의 삶은 물과 속대 등 부산물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

이에 따라 기존의 전통 한지 제조과정은 닥나무를 삶아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 껍질을 벗겨내고 닥나무를 삶아낼 때 발생하는 다량의 물이 앞으로는 산업용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연구는 외국산과의 가격경쟁에서 밀려 거의 사라지다시피 한 국내 한지원료 재배산업과 대부분 수입산 원료에 의존하던 국내 한지제조산업에서 대량으로 폐기되는 부산물을 재활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면역 활성화를 검증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식균 작용 및 면역 정보를 전달하는 대식세포의 증식 효과와 항체 생성 등 면역력 증강에 작용하는 비장세포의 증식 효과를 관찰했다"고 전했다.

이어 "닥나무 끓인 물 추출물이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발했고 대식 세포에서도 증식 효과를 보였으며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따른 NO(Nitric Oxide,일산화질소)의 생성 또한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면역 증강에 효과적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연구를 진행한 하 박사는 "향후 이들 폐기 부산물에서 아토피 및 알러지 질환에 대한 유효성도 검증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9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임상병리사 2005.07.06 23:18:02

    그래야 날림 어거지 검진 없애지..
    미쳤다고 의사들 배불리냐?
    임상병리사만 좃나 고생하는디..

  • 공단 2005.07.06 19:31:28

    공단이나 정부는 의사를?
    병신으로 본다.
    뭐 화나냐?
    예방주사는 보건소에서 주고 검진은 보험공단에서 하고 앞으로 또 기발한 아이디어 많이 나올거야.
    그래도 병신의사들 아무것도 못해

  • 참나 2005.07.06 18:14:35

    너무들 하는구만
    아주 생쇼를 하시는 군요 뭐가 아쉬어서 그런짓을... 쯧쯧쯧

  • 건강 2005.07.06 16:40:34

    보험관리 업무나 잘하지
    뭘 그런것을 손대

  • 2005.07.06 15:19:01

    그래야 공단직원 일자리가 늘지
    수위1명
    접수하는데 2명
    설명(안내) 1명
    키재는데 1명
    몸무게 재는데 1명
    혈압 1명
    혈액검사 1명
    컴퓨터 1명
    결과 보고 1명
    과장 1명..


  • 위협 2005.07.06 14:43:03

    모든것이 투쟁대상-선거때까지
    또 실력행사 또 무력저지 또 규탄집회 이세상에 의사뿐

  • 동네방네의 2005.07.06 14:38:16

    검진자체가 필요 없다.
    지천에 늘려 있는 게 의원들인데
    그걸 놓아두고 뭔 검진이 필요해.

  • 자고로 2005.07.06 14:16:14

    공단넘들 생각에는
    의사는 모두 공단 시다바리가...

  • 반대 2005.07.06 13:32:33

    건강검진센타 축소하라
    의원들이 하도록 검진센타는 전부 없애라 안그러면 전면투쟁을 벌일지도 모를거다 알아서 해라 ㅋㅋㅋ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