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가 인하 손해보다 코드 입성 따른 이익 더 커"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가 임박하면서 일부 국내 상위제약사들이 R&D 투자 유인책을 활용, 대형병원에 저가납품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기준가보다 저가납품을 할 경우 약가 인하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R&D 투자 유인책을 이용하면 인하폭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소재 모 대형병원이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 적용을 목적으로 내민 납품 견적서에 일부 국내 상위제약사들이 터무니 없이 낮은 가격을 제시했다.
이들 업체의 이같은 행보는 약가 인하로 인한 손해보다 코드 입성으로 발생하는 신규 매출이 더 이득이 된다는 판단이 앞섰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업체 중 상당수는 기등재약 약값 인하시 인하액의 40~60%를 면제 받는 R&D 우수기업이어서 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이 가능했다는 시선이 많다.
정부는 지난 2월 <의약품 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 방안>을 통해 초기 2년간 연간 연간 R&D 투자액이 500억원 이상이면서 투자비율이 매출액 대비 10% 이상인 제약사는 약가인하 금액의 60%를 면제키로 했다.
또 R&D 투자액과 투자비율이 각각 200억원 이상, 6% 이상인 기업도 깍인 금액의 40%를 감안해주기로 했다.
한마디로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로 저가 남품시 발생하는 약값 인하를 R&D 투자 유인책으로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다는 소리다.
국내 업계 모 관계자는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로 약을 싸게 병원에 공급하면 이듬해 약값이 깎이지만 최대 인하폭은 10%로 규정돼 있다"며 "인하폭 제한으로 신규 입성이 약값 인하보다 낫다는 생각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귀띔했다.
특히 R&D 투자 유인책을 활용하려는 일부 상위제약사들의 움직임이 눈에 띈다고 했다.
그는 "R&D 투자를 많이 하는 기업은 기등재약 약가 인하시 40~60%를 면제해 준다는 정부 방침을 이용하려는 동향도 포착되고 있다"며 "이럴 경우 어느정도 인하폭을 만회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일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1000원인 약이 저가공급으로 최대 10% 깎여도 R&D 투자 유인책을 활용하면 4~6%의 인하율만 감수하면 된다는 소리다.
또 약가인하가 될 경우, 연속적으로 인하된 선례가 없었던 것도 믿는 구석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다른 상위 제약사 관계자는 "과거 약가 인하 사례를 보면 연속적으로 인하하는 경우는 없었다"며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로 약값이 깎이면 그 다음해는 면죄부를 주는 방안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했다.
또 다른 상위 제약사 관계자도 "어차피 1~2년 지나면 정책은 변하게 돼 있다"며 "현 정책을 무서워서 병원 코드 입성을 포기하는 것보다 먼저 치고 나가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준가보다 저가납품을 할 경우 약가 인하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R&D 투자 유인책을 이용하면 인하폭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소재 모 대형병원이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 적용을 목적으로 내민 납품 견적서에 일부 국내 상위제약사들이 터무니 없이 낮은 가격을 제시했다.
이들 업체의 이같은 행보는 약가 인하로 인한 손해보다 코드 입성으로 발생하는 신규 매출이 더 이득이 된다는 판단이 앞섰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업체 중 상당수는 기등재약 약값 인하시 인하액의 40~60%를 면제 받는 R&D 우수기업이어서 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이 가능했다는 시선이 많다.
정부는 지난 2월 <의약품 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 방안>을 통해 초기 2년간 연간 연간 R&D 투자액이 500억원 이상이면서 투자비율이 매출액 대비 10% 이상인 제약사는 약가인하 금액의 60%를 면제키로 했다.
또 R&D 투자액과 투자비율이 각각 200억원 이상, 6% 이상인 기업도 깍인 금액의 40%를 감안해주기로 했다.
한마디로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로 저가 남품시 발생하는 약값 인하를 R&D 투자 유인책으로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다는 소리다.
국내 업계 모 관계자는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로 약을 싸게 병원에 공급하면 이듬해 약값이 깎이지만 최대 인하폭은 10%로 규정돼 있다"며 "인하폭 제한으로 신규 입성이 약값 인하보다 낫다는 생각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귀띔했다.
특히 R&D 투자 유인책을 활용하려는 일부 상위제약사들의 움직임이 눈에 띈다고 했다.
그는 "R&D 투자를 많이 하는 기업은 기등재약 약가 인하시 40~60%를 면제해 준다는 정부 방침을 이용하려는 동향도 포착되고 있다"며 "이럴 경우 어느정도 인하폭을 만회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일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1000원인 약이 저가공급으로 최대 10% 깎여도 R&D 투자 유인책을 활용하면 4~6%의 인하율만 감수하면 된다는 소리다.
또 약가인하가 될 경우, 연속적으로 인하된 선례가 없었던 것도 믿는 구석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다른 상위 제약사 관계자는 "과거 약가 인하 사례를 보면 연속적으로 인하하는 경우는 없었다"며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로 약값이 깎이면 그 다음해는 면죄부를 주는 방안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했다.
또 다른 상위 제약사 관계자도 "어차피 1~2년 지나면 정책은 변하게 돼 있다"며 "현 정책을 무서워서 병원 코드 입성을 포기하는 것보다 먼저 치고 나가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