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혈액확보 대책 시급한 현실화 촉구
“혈소판이 물보다 더 절실한 환자들은 지금도 헌혈자를 찾아 헤메고 있는데, 완전한 혈액수급체계는 언제쯤 갖춰진다는 것입니까?”
6일 국무총리실 산하 혈액안전관리개선 기획단이 내놓은 ‘혈액안전관리개선 종합대책안’에 던져진 한 시민단체대표의 애끓는 물음이다.
스스로를 백혈병 환자임을 밝힌 건강세상네트워크 강주성 대표(공동대표)는 이날 있었던 혈액안전관리 개선대책 공청회에서 “병원에서 환자에게 성분채혈혈소판 확보를 위해 4~50명의 헌혈자를 데리고 오라고 하는 것이 지금의 혈액 수급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강 대표는 “특히 혈소판 수혈이 많이 필요한 백혈병 환자들의 60% 이상이 서울 대형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들 중에는 헌혈자 확보를 위해 비행기 삯과 식비를 대주고 지방의 연고지 사람들을 동원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불안정한 혈소판 수급체계도 문제지만 병원들이 전국 혈액원 연계를 통한 보호자지정헌혈제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헌혈을 하기위해 지방에서 서울까지 와야만 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현실도 되돌아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권성기 대표는 “환자들은 혈액원의 의무인 헌혈자 확보를 떠맡음에도 불구하고 수혈에 대한 비용까지 지불하고 있다”며 “이와 같은 불합리한 상황을 고려한 지불액 삭감제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혈액안전관리개선기획단 김현옥 위원장은 “이번 대책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환자들의 어려움을 다시 한번 절감했다”며 “혈소판 수급정책 개선방안에 대해서 다시 구체적으로 숙고하겠다”고 답변했다.
기획단은 이날 등록헌혈자 인센티브 부여, 헌혈의 집 확충, 자발적 헌혈운동 활성화를 통해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헌혈자를 모집하게 하는 폐해를 근절하겠다고 강조했다.
2003년 성분채혈 혈소판 사용량은 5만 2,520유니트이며, 이 중 의료기관에서 자체 채혈한 혈소판은 1만 3,342유니트인 것으로 집계됐다.
6일 국무총리실 산하 혈액안전관리개선 기획단이 내놓은 ‘혈액안전관리개선 종합대책안’에 던져진 한 시민단체대표의 애끓는 물음이다.
스스로를 백혈병 환자임을 밝힌 건강세상네트워크 강주성 대표(공동대표)는 이날 있었던 혈액안전관리 개선대책 공청회에서 “병원에서 환자에게 성분채혈혈소판 확보를 위해 4~50명의 헌혈자를 데리고 오라고 하는 것이 지금의 혈액 수급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강 대표는 “특히 혈소판 수혈이 많이 필요한 백혈병 환자들의 60% 이상이 서울 대형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들 중에는 헌혈자 확보를 위해 비행기 삯과 식비를 대주고 지방의 연고지 사람들을 동원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불안정한 혈소판 수급체계도 문제지만 병원들이 전국 혈액원 연계를 통한 보호자지정헌혈제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헌혈을 하기위해 지방에서 서울까지 와야만 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현실도 되돌아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권성기 대표는 “환자들은 혈액원의 의무인 헌혈자 확보를 떠맡음에도 불구하고 수혈에 대한 비용까지 지불하고 있다”며 “이와 같은 불합리한 상황을 고려한 지불액 삭감제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혈액안전관리개선기획단 김현옥 위원장은 “이번 대책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환자들의 어려움을 다시 한번 절감했다”며 “혈소판 수급정책 개선방안에 대해서 다시 구체적으로 숙고하겠다”고 답변했다.
기획단은 이날 등록헌혈자 인센티브 부여, 헌혈의 집 확충, 자발적 헌혈운동 활성화를 통해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헌혈자를 모집하게 하는 폐해를 근절하겠다고 강조했다.
2003년 성분채혈 혈소판 사용량은 5만 2,520유니트이며, 이 중 의료기관에서 자체 채혈한 혈소판은 1만 3,342유니트인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