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방침 발표하자 불안감 확산…사노피 등 구조조정 착수
'반값약값'이 현실화되면서 제약계가 크게 동요하고 있다.
사노피, 삼일제약 등 일부 국내외 제약사가 사실상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차라리 우리도 희망퇴직을 원한다"는 목소리마저 흘러나오고 있다.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약값 일괄인하 정책이 본격적인 부작용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전직 국내제약사 영업사원 A씨는 1일 "제약영업은 끝났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지난 25일 퇴사했다.
A씨는 "지금도 쌍벌제 등의 정부 규제가 심하다. 비용을 통제하다보니 영업 활동은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다. 하루 종일 차에서 잔 적도 많다. 무의미한 일상의 연속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어 "지금도 이런데 약값이 반토막 나는 내년에는 정말 생각하기도 끔찍하다. 발품 영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도저히 돌파구가 없어 보인다"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A씨는 이런 제약업의 불신이 집단 퇴사 조짐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사원이나 주임급 등 낮은 직급에서 이직을 결심하는 이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 그의 증언이다.
A씨는 "우리 회사는 물론 영업을 하면서 만난 타사 직원들도 하나 같이 이직을 준비하고 있었다. 하물며 희망퇴직을 해주는 회사가 부럽다는 분위기까지 형성되고 있다. 웃지 못할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어이없어 했다.
실제 사노피는 15년차 이상 직원이 희망퇴직을 원하면 2억원 수준(월급 400만원 기준)의 보상금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이대로 가다가는 젊은 인력들이 대거 빠져나가 제약산업이 후퇴하는 결과를 낳을 지도 모른다. 이번 달만해도 나를 포함해 서울 한 영업소에서 3명이 퇴사했다. 나간 인원이 보충이나 될 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제약협회도 이번 약가인하 확정안을 맹비난했다.
한국제약협회는 31일에만 두 차례 성명서를 내며 "제약계는 수용할 수 있는 상식적 수준의 요구를 제안했는데 주무부처인 복지부는 아무런 재량권이 없었다"고 꼬집었다.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도 "이번 약가인하안은 제약산업을 후퇴시켜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사노피, 삼일제약 등 일부 국내외 제약사가 사실상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차라리 우리도 희망퇴직을 원한다"는 목소리마저 흘러나오고 있다.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약값 일괄인하 정책이 본격적인 부작용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전직 국내제약사 영업사원 A씨는 1일 "제약영업은 끝났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지난 25일 퇴사했다.
A씨는 "지금도 쌍벌제 등의 정부 규제가 심하다. 비용을 통제하다보니 영업 활동은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다. 하루 종일 차에서 잔 적도 많다. 무의미한 일상의 연속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어 "지금도 이런데 약값이 반토막 나는 내년에는 정말 생각하기도 끔찍하다. 발품 영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도저히 돌파구가 없어 보인다"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A씨는 이런 제약업의 불신이 집단 퇴사 조짐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사원이나 주임급 등 낮은 직급에서 이직을 결심하는 이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 그의 증언이다.
A씨는 "우리 회사는 물론 영업을 하면서 만난 타사 직원들도 하나 같이 이직을 준비하고 있었다. 하물며 희망퇴직을 해주는 회사가 부럽다는 분위기까지 형성되고 있다. 웃지 못할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어이없어 했다.
실제 사노피는 15년차 이상 직원이 희망퇴직을 원하면 2억원 수준(월급 400만원 기준)의 보상금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이대로 가다가는 젊은 인력들이 대거 빠져나가 제약산업이 후퇴하는 결과를 낳을 지도 모른다. 이번 달만해도 나를 포함해 서울 한 영업소에서 3명이 퇴사했다. 나간 인원이 보충이나 될 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제약협회도 이번 약가인하 확정안을 맹비난했다.
한국제약협회는 31일에만 두 차례 성명서를 내며 "제약계는 수용할 수 있는 상식적 수준의 요구를 제안했는데 주무부처인 복지부는 아무런 재량권이 없었다"고 꼬집었다.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도 "이번 약가인하안은 제약산업을 후퇴시켜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