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0년간 사용해온 결핵예방백신(BCG)이 제1형 당뇨병을 퇴치하고 평생 맞아야 하는 인슐린 주사를 맞지 않게 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PLoS ONE 잡지에 게재되었다.
미국 하바드의과대학 매사추세츠종합병원 면역생물학연구소의 데니스 파우스트만 소장은 지난 8일 결핵예방백신이 인슐린 공격 세포를 죽이는 단백질 생산을 촉진한다고 밝혔다.
제1형 당뇨병 환자들은 췌장 내 인슐린 생산 세포를 파괴하는 잘못된 면역체계로 인해 몸 안에서 호르몬을 생산하지 못해 매일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혈당을 조절할 수 있다.
이번 인체 실험에서는 제1형 당뇨병 환자 3명에게 2번의 결핵예방백신을 낮은 용량으로 투여하고 20주간 추적한 결과, 3명 중 2명의 인체에서 유해한 면역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단백질 생산이 촉진되어 인슐린 분비를 재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환자들은 그동안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세포가 죽었다고 생각해 왔으나 낮은 용량의 결핵백신 2번으로 췌장이 다시 작용을 시작하여 조금씩 인슐린 분비를 하고 있는 것 같다"고 파우스트만 박사는 말했다.
이 연구 결과에 고무되어 연구진들은 3내지 5년 안에 결과를 볼 수 있는 대규모 연구를 계획하고 연구기금을 모집하고 있다.
미국 하바드의과대학 매사추세츠종합병원 면역생물학연구소의 데니스 파우스트만 소장은 지난 8일 결핵예방백신이 인슐린 공격 세포를 죽이는 단백질 생산을 촉진한다고 밝혔다.
제1형 당뇨병 환자들은 췌장 내 인슐린 생산 세포를 파괴하는 잘못된 면역체계로 인해 몸 안에서 호르몬을 생산하지 못해 매일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혈당을 조절할 수 있다.
이번 인체 실험에서는 제1형 당뇨병 환자 3명에게 2번의 결핵예방백신을 낮은 용량으로 투여하고 20주간 추적한 결과, 3명 중 2명의 인체에서 유해한 면역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단백질 생산이 촉진되어 인슐린 분비를 재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환자들은 그동안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세포가 죽었다고 생각해 왔으나 낮은 용량의 결핵백신 2번으로 췌장이 다시 작용을 시작하여 조금씩 인슐린 분비를 하고 있는 것 같다"고 파우스트만 박사는 말했다.
이 연구 결과에 고무되어 연구진들은 3내지 5년 안에 결과를 볼 수 있는 대규모 연구를 계획하고 연구기금을 모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