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까지 조사…30일 자문단 첫 회의서 조사 대상 결정
보건복지부가 11월말부터 2주간 로봇수술 안전성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현재 로봇수술을 시행 중인 병원 30곳 중 국공립병원과 로봇수술 건수가 많은 병원 6곳이 조사 대상이다.
또 실태조사에는 복지부와 심평원에서 각각 12명의 조사관이 참여하며 의사 등 통계전문가를 포함한 10명 이내의 자문단이 병원 진료기록 분석을 맡는다.
보건복지위원회 이언주 의원(민주통합당)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로봇수술의 안전성 문제에 대해 복지부가 실태조사에 들어갔다"면서 "오는 12월까지 실태조사를 마치고 그 결과를 국회에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10명으로 구성되는 전문가 자문단에는 의학분야에서 비뇨기과,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전문의와 통계분야 전문가가 포함되며 오는 30일 첫번째 회의를 시작으로 12월말까지 실태조사에 참여한다.
자문단은 로봇수술 관련 질병중증도, 재입원율, 사망률, 부작용 사례 등 병원 진료기록을 분석하고 현지조사에 필요한 설문지 및 체크리스트나 조사항목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는다.
자세한 현지조사시 조사항목이나 현지조사 병원 선정은 30일 열리는 자문단 첫 회의에서 결정할 예정이다.
이 의원은 지난 9월 12일 복지부 서면 질의서를 통해 로봇수술 안전성 관련 실태조사의 필요성을 촉구한 바 있다.
이어 지난 5일 국정감사에서 거듭 임채민 복지부 장관에게 실태조사를 촉구, 당시 임 장관에게 확답을 받았다.
현재 로봇수술 장비는 전국 30개 병원이 총 36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5위 보유 규모로 인구 백만명 당 보유대수는 세계 3위다.
또한 로봇수술은 지난 2005년 24건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총 1만 4274건이 실시됐으며 세브란스병원(신촌 4대, 강남 1대)이 가장 많은 대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서울대병원(2대), 서울아산병원(2대) 등의 순이다.
이 의원은 "로봇수술은 평균 70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 전액 비급여로 환자가 부담하는데 비용대비 효과가 낮아 환자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면서 "로봇수술의 피해에 대해 의료계 내부에서도 문제를 제기한 만큼 복지부가 실태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 실태조사에는 복지부와 심평원에서 각각 12명의 조사관이 참여하며 의사 등 통계전문가를 포함한 10명 이내의 자문단이 병원 진료기록 분석을 맡는다.
보건복지위원회 이언주 의원(민주통합당)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로봇수술의 안전성 문제에 대해 복지부가 실태조사에 들어갔다"면서 "오는 12월까지 실태조사를 마치고 그 결과를 국회에 보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10명으로 구성되는 전문가 자문단에는 의학분야에서 비뇨기과,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전문의와 통계분야 전문가가 포함되며 오는 30일 첫번째 회의를 시작으로 12월말까지 실태조사에 참여한다.
자문단은 로봇수술 관련 질병중증도, 재입원율, 사망률, 부작용 사례 등 병원 진료기록을 분석하고 현지조사에 필요한 설문지 및 체크리스트나 조사항목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는다.
자세한 현지조사시 조사항목이나 현지조사 병원 선정은 30일 열리는 자문단 첫 회의에서 결정할 예정이다.
이 의원은 지난 9월 12일 복지부 서면 질의서를 통해 로봇수술 안전성 관련 실태조사의 필요성을 촉구한 바 있다.
이어 지난 5일 국정감사에서 거듭 임채민 복지부 장관에게 실태조사를 촉구, 당시 임 장관에게 확답을 받았다.
현재 로봇수술 장비는 전국 30개 병원이 총 36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5위 보유 규모로 인구 백만명 당 보유대수는 세계 3위다.
또한 로봇수술은 지난 2005년 24건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총 1만 4274건이 실시됐으며 세브란스병원(신촌 4대, 강남 1대)이 가장 많은 대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서울대병원(2대), 서울아산병원(2대) 등의 순이다.
이 의원은 "로봇수술은 평균 70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 전액 비급여로 환자가 부담하는데 비용대비 효과가 낮아 환자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면서 "로봇수술의 피해에 대해 의료계 내부에서도 문제를 제기한 만큼 복지부가 실태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