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고 양 많은 의대 강의…이제는 조금 줄입시다"

발행날짜: 2012-12-24 06:27:48
  • 서울의대 신동훈 교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강의법 고민할 때"

"하나라도 더 가르치고 싶은 교수들의 마음은 이해하지만 가뜩이나 어려운 의학을 한번에 많이 알려준다고 학생들이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까."

서울의 한 의대 교수가 의과대학 강의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개선을 요구해 눈길을 끌고 있다.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는 최근 대한의학회지에 이러한 기고문을 싣고, 효율적인 강의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의대 교육은 우리나라 그 어떤 분야의 교육보다 앞선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한치의 오차도 없이 일년 동안 빠짐없이 진행되는 강의는 찾아보기 드문 것이 현실"이라고 운을 띄웠다.

그는 이어 "특히 의학교육이 더 이상 발전하기 어려운 단계까지 와 있음에도 여전히 더 나은 교육을 위해 애쓰는 교수들을 보면 동료로서 존경스러운 것도 사실"이라며 "적어도 의대 교수 중에 부실 교육으로 지적받는 교수는 없다는 것이 내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의욕이 앞선 나머지 교육을 들어야 하는 학생들의 입장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신 교수의 지적이다.

대다수 학생들이 강의 내용의 부실보다는 양이 많고 알아 듣기 어렵다는 불평을 하는 것은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객관적으로 판단해도 의대는 강의 시간당 전달되는 정보량이 다른 단과대학에 비해 월등하게 많다"면서 "물론 교수들이 미래의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 더 많은 지식을 전달하고자 하는 노력은 인정받아 마땅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이러한 의욕과 효율적인 강의는 전혀 별개의 개념으로 봐야 한다"며 "학생들이 도저히 소화시킬 수 없는 양과 질의 강의를 진행한다면 과유불급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이에 따라 신 교수는 교수들 스스로가 강의를 적절한 분량으로 조절해 보다 효율적인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신동훈 교수는 "지식을 꼭 강의시간에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형태로 제공해야 하는지는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면서 "강의를 적절한 분량으로 조절해도 과제가 보완교재 형태로 얼마든지 지식을 보충할 수 있다"고 의견을 내놨다.

이어 그는 "하나라도 더 지식을 알려주려 하는 교수들의 노력은 분명 고귀한 것"이라며 "하지만 이제는 강의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하려는 노력 또한 뒷받침돼야 한다"고 밝혔다.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