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탁·전은석 교수팀, 말기 심부전 환자 이식술 성공
인공장기이식 시대가 열렸다.
첫 포문을 연 것은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이영탁·전은석 교수팀.
이들은 지난 8월, 76세 고령의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인공심장 이식수술(체내형 심실 보조장치)을 실시했다.
이후 경과를 지켜본 결과 환자가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건강을 회복했음을 확인하고 10일, 인공장기이식에 성공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집도의는 흉부외과 이영탁 교수. 그는 우선 기존에 수술했던 인공 대동맥 판막 부위를 막고, 인공심장을 삽입했다. 11시간에 걸친 대수술이었다.
이어 좌심실의 혈액이 기계로 들어올 수 있도록 심첨부에 구멍을 만들고, 대동맥으로 혈액이 흐를 수 있도록 인공호스를 연결했다. 또 인공호스 사이에는 혈액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펌프를 설치했다.
모터로 움직이는 펌프가 돌기 시작하면, 심장은 뛰지 않지만 예전과 마찬가지로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이 일정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돕는 식이다.
수술은 성공적이었다. 수술 후 다음날 의식을 회복한 배씨는 넉 달여에 걸쳐 근력과 체력을 되찾아 갔다.
수술 후 기운을 되찾은 배씨는 "수술 전만 하더라도 겁이 났던 게 사실이지만 이제는 많은 것들이 좋아졌다"면서 의료진들에게 감사인사를 전했다.
배씨의 수술 후 관리를 맡았던 순환기내과 전은석 교수는 "배씨처럼 말기 심부전 환자는 늘고 있는 데 반해 심장이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매우 제한적"이라면서 "환자들에게 새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이 되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배씨는 지난 2000년 이미 한 차례 대동맥 판막수술을 받았고, 이듬해부터 심부전이 진행되면서 수술 직전 심박구출률(1회 수축시 심장서 나오는 혈액의 비율)이 17%까지 떨어진 상태였다.
특히 심박 구출률은 55% 이상이야 정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배씨 심장은 3분의 1정도만 제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었다.
당시 의료진들은 배씨와 나이와 건강상태를 고려할 때 이식수술을 하지 않을 경우 2년 생존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 수술을 결정했다.
인공심장이식 수술 후 배씨의 생활에 변화가 생겼다. 집에 있을 때에 전원공급 장치를 연결해야 하고, 외부에서는 최대 14시간까지 버틸 수 있는 배터리를 항상 몸에 지니며 관리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 몸 밖으로 이어지는 전선이 나오는 부분도 피부에 문제가 생길 경우 재수술이 불가피하게 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매일 소독하고 관리해야 하며, 심장 재활운동도 신경써야한다.
이영탁·전은석 교수는 인공심장이식은 의학적 관점에서 두 가지 큰 의미가 있다고 봤다.
젊은 층에게는 심장이식을 받기까지 대기기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생명연장을 위한 중간 단계 역할을 한다는 것과 고령이거나 이식수술이 힘든 상황이라 심장이식을 받지 못한 환자에게는 마지막 희망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심장이식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실제로 장기이식관리센터(KONOS)가 펴낸 2011 장기이식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심장이식 대기환자는 257명에 달하지만 2012년 국내에서 진행된 심장이식수술은 98건에 불과한 현실이다.
반면 외국에서 현재 사용 중인 인공심장 장치는 2005년 첫 수술 후 현재까지 최장 7년 생존자가 보고되고 있으며, 수술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여 연간 1000건을 상회한다.
이는 연간 심장이식 3000건의 1/3에 해당하는 것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셈이다.
이에 따라 삼성서울병원은 계속해서 인공심장이식술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 측은 "지난 2012년 초 식약청에서 3차례의 수술을 허가 받았으며 배씨 이후 내년까지 인공심장 이식수술을 2차례 더 진행할 계획"이라면서 "이는 임상연구 목적으로 전액 무료로 실시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첫 포문을 연 것은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이영탁·전은석 교수팀.
이들은 지난 8월, 76세 고령의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인공심장 이식수술(체내형 심실 보조장치)을 실시했다.
이후 경과를 지켜본 결과 환자가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건강을 회복했음을 확인하고 10일, 인공장기이식에 성공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집도의는 흉부외과 이영탁 교수. 그는 우선 기존에 수술했던 인공 대동맥 판막 부위를 막고, 인공심장을 삽입했다. 11시간에 걸친 대수술이었다.
이어 좌심실의 혈액이 기계로 들어올 수 있도록 심첨부에 구멍을 만들고, 대동맥으로 혈액이 흐를 수 있도록 인공호스를 연결했다. 또 인공호스 사이에는 혈액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펌프를 설치했다.
모터로 움직이는 펌프가 돌기 시작하면, 심장은 뛰지 않지만 예전과 마찬가지로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이 일정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돕는 식이다.
수술은 성공적이었다. 수술 후 다음날 의식을 회복한 배씨는 넉 달여에 걸쳐 근력과 체력을 되찾아 갔다.
수술 후 기운을 되찾은 배씨는 "수술 전만 하더라도 겁이 났던 게 사실이지만 이제는 많은 것들이 좋아졌다"면서 의료진들에게 감사인사를 전했다.
배씨의 수술 후 관리를 맡았던 순환기내과 전은석 교수는 "배씨처럼 말기 심부전 환자는 늘고 있는 데 반해 심장이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매우 제한적"이라면서 "환자들에게 새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이 되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배씨는 지난 2000년 이미 한 차례 대동맥 판막수술을 받았고, 이듬해부터 심부전이 진행되면서 수술 직전 심박구출률(1회 수축시 심장서 나오는 혈액의 비율)이 17%까지 떨어진 상태였다.
특히 심박 구출률은 55% 이상이야 정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배씨 심장은 3분의 1정도만 제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었다.
당시 의료진들은 배씨와 나이와 건강상태를 고려할 때 이식수술을 하지 않을 경우 2년 생존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 수술을 결정했다.
인공심장이식 수술 후 배씨의 생활에 변화가 생겼다. 집에 있을 때에 전원공급 장치를 연결해야 하고, 외부에서는 최대 14시간까지 버틸 수 있는 배터리를 항상 몸에 지니며 관리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 몸 밖으로 이어지는 전선이 나오는 부분도 피부에 문제가 생길 경우 재수술이 불가피하게 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매일 소독하고 관리해야 하며, 심장 재활운동도 신경써야한다.
이영탁·전은석 교수는 인공심장이식은 의학적 관점에서 두 가지 큰 의미가 있다고 봤다.
젊은 층에게는 심장이식을 받기까지 대기기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생명연장을 위한 중간 단계 역할을 한다는 것과 고령이거나 이식수술이 힘든 상황이라 심장이식을 받지 못한 환자에게는 마지막 희망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심장이식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실제로 장기이식관리센터(KONOS)가 펴낸 2011 장기이식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심장이식 대기환자는 257명에 달하지만 2012년 국내에서 진행된 심장이식수술은 98건에 불과한 현실이다.
반면 외국에서 현재 사용 중인 인공심장 장치는 2005년 첫 수술 후 현재까지 최장 7년 생존자가 보고되고 있으며, 수술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여 연간 1000건을 상회한다.
이는 연간 심장이식 3000건의 1/3에 해당하는 것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셈이다.
이에 따라 삼성서울병원은 계속해서 인공심장이식술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 측은 "지난 2012년 초 식약청에서 3차례의 수술을 허가 받았으며 배씨 이후 내년까지 인공심장 이식수술을 2차례 더 진행할 계획"이라면서 "이는 임상연구 목적으로 전액 무료로 실시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