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은희철 교수,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지침서 내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의학자와 언어학자가 공동 연구한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지침서가 나왔다.
서울의대 피부과 은희철 교수는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정인혁 교수와 이화여대 인문학부(언어학) 송영빈 교수와 함께 어려운 의학 전문용어를 이해하기 쉽게 우리말로 바꾸는 방법을 제시한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커뮤니케이션북스)를 발간했다고 발표했다.
어려운 의학용어를 사용하는 의학자와 언어학자가 만나 서로 공부하며 이러한 성과를 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의 의학용어 순화가 이미 만들어진 용어를 국어 어법에 맞게 바로 잡고 표준화하는 데 그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이 책에서는 '기존의 용어는 물론이고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새 전문용어들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해 중심을 뒀다.
실제로 이 책에서는 의학 전문용어가 시대에 맞춰 변화해 가는 모습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좌창' '와우' '단골'과 같은 난해한 의학 용어가 각각 '여드름' '달팽이' '짧은뼈' 등으로 순화돼 대중에게 성공적으로 소통되고 있다.
서울대의대 피부과 은희철 교수는 "전문용어는 더 이상 소수 전문가들이 쓰는 말이 아니다. 현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일반인이 습득하기 위해서는 전문용어를 알아야 지식의 소통이 가능하다"면서 "전문용어 역시 시대적 요구에 맞게 모두가 소통 가능한 용어로 바뀌어야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현재 쓰이고 있는 용어중 통일이 필요한 의학용어에 대해 새로운 대안도 제시했다.
현재 영어 'disease'가 병, 질병, 질환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말 큰사전』 7판에 의하면 질병, 질환은 병과 완전히 같은 의미로 되어 있어, 이들을 모두 '병'으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
또한, 영어 'disorder' 역시 장애, 병, 질환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데, '장애'로 통일할 것을 주문했다.
사후피임약, 응급피임약은 '사후피임제', '응급피임제'로 쓰여야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약'이란 말은 상황을 제거시키는 것으로, '-제'라는 말을 상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쓰이므로 이들 제품의 특성상 '-제'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처(wound)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도 현재 순화되지 않고 쓰이고 있음을 지적하며, 할창(cleaver wound)은 '찍힌상처'로, 절창(cutting wound)은 '베인상처', 사창(firearms wound)은 '총상', 관통창(penetrating wound)은 '관통상처'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바꾸기를 권했다.
은 교수는 대한의사협회 용어심의위원회 위원을 역임하며 20여 년간 다수의 의학용어집 발간에 참여했으며, 정인혁교수도 대한해부학회 용어심의위원장을 맡으며 우리말 의학용어 만들기에 앞장섰다. 송영빈 교수는 언어학자이자, 대표적인 전문용어 연구가다.
은희철 교수는 "최근 '갑상선'을 '갑상샘'으로, '골다공증'을 '뼈엉성증'으로 순화시키고 있는 과정에서 언어학자들의 좋은 호응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잘 정착되지 않는 것은 이에 대한 의사들의 이해가 필요할 뿐 아니라 진료 현장과 학술 활동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새 용어의 정착을 앞당길 수 있다"고 전했다.
서울의대 피부과 은희철 교수는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정인혁 교수와 이화여대 인문학부(언어학) 송영빈 교수와 함께 어려운 의학 전문용어를 이해하기 쉽게 우리말로 바꾸는 방법을 제시한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커뮤니케이션북스)를 발간했다고 발표했다.
어려운 의학용어를 사용하는 의학자와 언어학자가 만나 서로 공부하며 이러한 성과를 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의 의학용어 순화가 이미 만들어진 용어를 국어 어법에 맞게 바로 잡고 표준화하는 데 그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이 책에서는 '기존의 용어는 물론이고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새 전문용어들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해 중심을 뒀다.
실제로 이 책에서는 의학 전문용어가 시대에 맞춰 변화해 가는 모습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좌창' '와우' '단골'과 같은 난해한 의학 용어가 각각 '여드름' '달팽이' '짧은뼈' 등으로 순화돼 대중에게 성공적으로 소통되고 있다.
서울대의대 피부과 은희철 교수는 "전문용어는 더 이상 소수 전문가들이 쓰는 말이 아니다. 현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일반인이 습득하기 위해서는 전문용어를 알아야 지식의 소통이 가능하다"면서 "전문용어 역시 시대적 요구에 맞게 모두가 소통 가능한 용어로 바뀌어야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현재 쓰이고 있는 용어중 통일이 필요한 의학용어에 대해 새로운 대안도 제시했다.
현재 영어 'disease'가 병, 질병, 질환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말 큰사전』 7판에 의하면 질병, 질환은 병과 완전히 같은 의미로 되어 있어, 이들을 모두 '병'으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
또한, 영어 'disorder' 역시 장애, 병, 질환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데, '장애'로 통일할 것을 주문했다.
사후피임약, 응급피임약은 '사후피임제', '응급피임제'로 쓰여야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약'이란 말은 상황을 제거시키는 것으로, '-제'라는 말을 상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쓰이므로 이들 제품의 특성상 '-제'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처(wound)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도 현재 순화되지 않고 쓰이고 있음을 지적하며, 할창(cleaver wound)은 '찍힌상처'로, 절창(cutting wound)은 '베인상처', 사창(firearms wound)은 '총상', 관통창(penetrating wound)은 '관통상처'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바꾸기를 권했다.
은 교수는 대한의사협회 용어심의위원회 위원을 역임하며 20여 년간 다수의 의학용어집 발간에 참여했으며, 정인혁교수도 대한해부학회 용어심의위원장을 맡으며 우리말 의학용어 만들기에 앞장섰다. 송영빈 교수는 언어학자이자, 대표적인 전문용어 연구가다.
은희철 교수는 "최근 '갑상선'을 '갑상샘'으로, '골다공증'을 '뼈엉성증'으로 순화시키고 있는 과정에서 언어학자들의 좋은 호응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잘 정착되지 않는 것은 이에 대한 의사들의 이해가 필요할 뿐 아니라 진료 현장과 학술 활동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새 용어의 정착을 앞당길 수 있다"고 전했다.